본문 바로가기
내고향 晋州.

국립진주박물관 - 9, 정유재란과 종전.

by 五江山 2013. 12. 3.

 

 

 

                       정유재란과 종전


                

 

                 1596년(선조 29) 9월 명과의 강화 회담이 결렬되자 도요토미의 명령에 따라 이듬해 1월 14일 14만 4천여

 

                 명의 일본군이 재침공하였다. 일본군은 호남과 충청도를 통해 동시에 서울로 침공할 계획을 세웠다. 일본

                 수군은 7월 칠천량에서 원균이 이끄는 조선수군을 괴멸시켰다. 육상에서도 남원성을 함락시키고 진격하

                 였다. 그러나 조명연합군은 직산전투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고, 해전에서는 재기용된 이순신이 명량

                 해전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 이 전투들은 전세를 역전시키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이후 조명연합군

                 은 일본군이 본거지로 삼고 있는 울산, 사천, 순천을 동시에 공격하여 일본군을 압박하였다.

                 1598년 8월 도요토미가 사망하자 일본군의 퇴각명령이 내려졌고, 이때 이순신은 노량에서 일본군을 크게

                 물리치고 장렬하게 전사하였다. 이로써 7년간의 임진왜란은 끝나게 되었다.

 

 

 

         임진왜란실의 마지막 부분에는 초량왜간도와 아메노모리호슈 초상화와 선무사 편액이 걸려있다.

 

 

                    일제강점기와 임진왜란


 

                 임진왜란 의병 정신을 계승하였던 근대의병운동이 가혹한 탄압 속에서 실패하고 일제강점기가 시작되자,

                 뜻있는 사람들은 민족의 역사를 일깨워 독립정신을 고취하려했다. 특히 임진왜란은 일본의 침략을 극복한

                 역사적 사건이었기 때문에 당시 활약한 선조들의 행적을 발굴하고 위인전으로 발간하여 보급하는 것은 당

                 연한 일이었다.

                 민족주의 사학자이자 독립운동가인 단재 신채호(1880~1936)선생이 1908년부터《대한매일신보》에 임진

                 왜란 최고 위인의 전기인《이순신전》을 연재한 것은 이런 움직임의 시발점이었다.

 

 

                                             초량왜간도  草梁倭館圖


                                   변박卞璞  /  조선 朝鮮   /  복제품複製品 

 

 

                         1678년에 부산 두모포豆毛浦에 있던 왜관을 초량草梁으로 옮겨 지은 왜관 주변의 그림이다.

                         왜관은 조선시대에 일본인이 통상을 하던 무역처, 숙박처, 접대처로서의 기능을 동시에 가지고

                          있었던 건물이다. 임진왜란 이후 일본 사신은 한성에 들어가지 못하고 부산에서 외교와 통상을

                          다루었다. 그림 속의 돌담 안쪽이 왜관, 그 북쪽 건물은 일본 사신을 접대하던 연향대청宴享大

                          廳이다.

 

 

 

 

 

 

 

           한음집 漢陰集


              조선 朝鮮 1673

 

 

              조선 중기의 문신 이덕형의 시문집으로서 12권 5책의 목판본이다. 그의 손자 이상정(李象鼎)이 편찬하여

              1673년(현종 14)에 간행하였다. 문집의 내용 대부분이 임진왜란과 관련된 것이 많다. 특히 임진왜란 때의

              국내 실정이나 전쟁 상황, 그리고 조선과 명(明), 조선과 일본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교린지  交隣志


                      조선 朝鮮  1802

 

 

            1802년(순조 2)  김건서(金健瑞)가 그의 동료인 이은효(李恩孝), 임서무(林瑞茂) 등과 함께 편찬한 책으로

            여러 나라와의 외교관계가 수록되어 있다. 일본과의 교린정책과 외교사를 적은 책이다. 1720년(숙종 46)

            편찬된 『통문관지(通文館志)』의 「교린(交隣)」조를 증보하여 만든 것이다.

 

 

 

 

 

 

          외교문서 朝鮮國禮曺參議尹暉奉書


               조선 朝鮮   1611

 

 

 

              1611년 예조에서 대마도주에게 보낸 것으로, 임진왜란 이후 국가간의 실무교류가

              재개되었음을 살펴볼 수 있는 문서이다.

 

 

 

 

 

             화양지  華陽誌


                     조선 朝鮮

 

 

 

                  송주상宋周相이 편찬한 화양서원의 기록이다. 명나라에 대한 사대의식을 강조하였던 조선 후기의

                  상황을 보여준다. 또한 송시열에 관한 기록도 있는데 양반사회와 곡의 설치*운영 등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새로운 동아시아 세계의 전개

 

                 7년간의 임진왜란이 끝난 뒤 참전국은 각각 전후 수습이 큰 과제였다.

                     조선은 직접 전쟁터가 되었던 까닭에 피해가 가장 극심하였다. 경제력의 회복과 아울러 실추된 국

                 권위의 정립과 사회질서의 확립에 노력하였다. 한편, 전쟁 중 직접 국내외 실상을 체험한 광해군은

                 새로 일어난 청과의 관계를 고려하여 실리외교를 폈는데 이는 명에 대한 명분과 사대주의에 어긋나

                 는 것이어서 국내정치에서 큰 논란과 대립을 일으켰고, 마침내는 인조반정으로 임금과 집권 당파의

                 교체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침략 당사자인 일본 역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후계문제로 양대 세력이 대립하더니 세키가하라 전

                 투(1600)에서 승리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정권을 잡았다. 일본 역시 전쟁으로 경제적 파탄이 심했

                 으나 조선에서 약탈한 귀중품과 포로로 데려간 사기장 등의 각종 기술자, 인쇄술 등의 선진기술, 학

                 자와 서적 등을 수용하여 장기적으로는 국가의 경제적 이득과 문화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되었다.

 

                 중국은 만주에서 새로 일어난 청이 쇠약해진 명을 대신하게 되었는데, 이 과정에서 명은 조선에 대

                 하여 임진왜란 중의 파병을 빌미로 막대한 양의 은과 군대의 파견, 명군의 주둔지 마련을 요구하기

                 도 했다.

                 임진왜란 이후 전쟁에 참여했던 동아시아 삼국은 국내적으로 정치적 변화를 겪었고 대외적으로는

                 쇄국을 견지하여 활발한 해외교류가 이루어지지않았다. 이에 따라 삼국은 세계질서에 완전히 편입

                 되지 않은 채 독자적인 길을 걷게 되었다.

 

 

 

                                         아메노모리 호슈 초상 雨森芳洲  肖像


                                    일본 日本  /  복제품 複製品

 

 

                                 아메노모리 호슈(1668~1755)는 쓰시마 번과 왜관을 왕래하며 조선과의 실무교섭을

                                 담당했던 일본의 외교관이었다. 그는 조선과 교섭할 때의 기본자세에 대해 세세히

                                 기하면서 양국의 풍습과 문화의 차이를 인정하고 상대국을 속이거나 다투지 않는 성

                                 신誠信으로써 교류하는 것이 중요 하다고 하였다.

                                                                                                   일본 시가현 다카츠키 호슈회 소장

 

 

 

 

 

 

          선무사  편액  宣武詞  偏額


         조선 朝鮮  /  복제품 複製品

 

         명나라 병부상서 형개邢玠와 도어사 양호楊鎬를 제사 지내는 사당에 걸려 있던 편액이다. 선무사는 서울 도성 남문

         안 태평관太平館 서쪽에 있었다.

         1598년(선조 31)에 창건하여 형개를 제사 지냈고, 1604년(선조 37)에 양호를 배향하였다. 이 두 사람을 모신 것은

         이들이 임진왜란 때, 원군을 거느리고 와서 도와주었기 때문이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대마국도  對馬國圖


            조선 朝鮮 1811  /  복제품 複製品

 

 

            1811년(순조 11)에 통신사가 대마도를 거쳐 간 것을 그린 것이다. 육상의 이동경로와 건물지는 간략하게 그려져

            있으나 해상의 이동경로는 비교적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일본 나고야성박물관  日本 名護屋城博物館  소장

 

 

 

 

 

 

 

                                          대한매일신보  大韓每日申報


 

                                         

                                          1904∼10년 사이에 발행되던 일간지. 양기탁(梁起鐸)이 영국인 E. 베델[裵說]과 함께

                                창간했으며, 일제의 탄압을 피해 베델이 사장을, 양기탁은 총무를 담당했다. 그 당시에

                                는 일본이 한국의 언론에 대해 철저한 검열과 직접 탄압을 가했는데, 영국은 일본과 동

                                맹을 맺고 있었기 때문에 영국인 명의로 발행하는 대한매일신보는 검열할 수 없었다.

 

                                주필 박은식(朴殷植 ; 황해도 황주 ; 독립운동가 1859~1925)을 비롯하여 신채호(申采

                                浩 독립운동가 사학자 1880~1936 ) * 장도빈(張道斌 사학자 독립운동가 1888~1963) 

                                * 안창호(安昌浩 독립운동가 1878~1938) 등 집필진은 자유롭게 일제의 대한제국 침략

                                정책을 비판하였다. 일본에 의해 강제로 이루어진 을사보호조약의 무효를 선언하는 논

                                문, 고종의 친서를 싣는 등 일제의 침략행위를 폭로하여 배일사상(排日思想)을 고취시

                                켰다. 일본은 베델을 추방하려 여러 번 시도하였고, 결국 대한매일신보에 실린 기사와

                                논을 근거로 베델과 양기탁을 고소해, 베델은 3주간 금고형을 받고 양기탁은 무죄로

                                풀려났다.

 

                                그 뒤 1908년 발행인이 베델의 비서인 A. 만함으로 바뀌었고, 10년 8월 28일 1461호로

                                총독부에 의해 폐간되었다. 처음에는 순한글판 신문을 발행하였으나 곧 국한문 혼용으

                                로 바꾸었고, 1907년부터는 국한문 혼용판과 한글판을 따로 발간하였다. 1905년부터 영

                                문판 《코리아 데일리 뉴스(The Korea Daily News)》도 발행하였다.

 

                                1개월 구독료는 당시 30전이었으며, 발행부수가 3종류를 합쳐 1만부가 넘는 큰 신문이었

                                다. 이 신문은 폐간 전까지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신속한 보도와 준열한 논설로써 대중을

                                계몽하고 항일사상을 고취시킨 대표적인 민족지였다. 민간지가 나오기 전에 연재소설의

                                유일한 무대가 되어 조중환【趙重桓 ; 1863(철종 14)~1944】《장한몽(長恨夢)》, 이광

                                수(李光洙 ; 1892~1950)의 《무정(無情)》《개척자》와 이해조【海朝 ; 1869(고종 6)~

                                1927 ; 신 소설작가】의 《봉선화》 《우중행인(雨中行人)》, 그리고 민태원(閔泰瑗 ; 충

                                남 서산 1894~1935)이 V. 위고의 《레미제라블》을 번역한 《애사(哀史)》가 18년부터

                                19년까지 연재되었고 윤백남【尹白南 ; 극작가, 소설가, 영화감독, 1888(고종 25)~1954】

                                등의 작품이 발표되었다.

 

                                39년 4월 《경성일보》에서 완전독립된 주식회사가 되면서 최린【麟 ; 종교인 ; 1878(

                                고종 15)~1958】이 사장이 되었다. 《월간매신(月刊每申)》 《국민신보(國民新報)》 등을

                                자매지로 발간하였으며 40년 8월 《동아일보》와 《조선일보》가 강제 폐간된 뒤 45년 광

                                복이 되기까지 유일한 한글 일간지로 일제의 침략정책 수행의 선봉이 되다가 45년 11월 25

                                일 《서울신문》으로 제호를 바꾸었다.

 

 

                                일본 교과서 속의 임진왜란


 

                               일본 중등 사회 과정의 역사부분 교과서는 모두 8종이다. 이 교과서들은 대개 임진왜란을

                               하나의 작은 항목으로 다루고 있다. 대부분의 교과서에서는 임진왜란을 ‘조선침략’ 이라는

                               제목 아래 도요토미의 대륙 정복 야망과 조선침략의 과정, 조선 백성들의 저항, 이순신의

                               활약, 도자기술의 일본 유입 등을 언급하고 있다. 다만 가장 우익적인 성향을 띠고 있는 후

                                쇼사[扶桑社]에서 출판한 교과서는 ‘조선으로의 출병’ 이라는 항목으로 서술하고 있어

                                차이를 보인다.

 


               

 

 

 

 

 

 

 

 

 

 

             일본의 교과서

 

                 세계 학계의 임진왜란 연구 동향


 

              16세기 유럽은 신항로 개척을 바탕으로 동서 무역과 식민지 건설을 시작하였다. 이를 대항해시대라 하는데

              이 때부터 각 대륙은 오늘날과 같은 ‘하나의 지구’로 편입 되었다. 그러나 실제 동서교류사 서술은 유럽사를

              중심으로 하고 비유럽권은 등한시 하였다. 최근에는 이에서 벗어나 점차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임진왜란에 대한 관심도 고조되고 있다. 다만 일찍이 세계학계와 교류 하였던 일본의 연구물과 자료들이 다

              수 인용되고 있어 자칫 그 논리와 시각이 반영될 위험성이 높다. 새뮤얼 홀리의 《THE IMJIN WAR》(2005)

              는 이를 탈피하여 한국 학계의 연구성과를 반영하고 자료를 이용하여 서술하였다는 점에서 주목 된다.

 

 

 

 

 

 

 

            SAMUEL HAWLEY    THE IMJIN WAR  (2005)

             내용중에 거북선과 이순신 장군의 모습이 보인다.

 

 

 

 

             이것으로 임진왜란에 대한 이야기는 끝내고, 다음 포스트에서는 역사 문화실로 자리를 옮겨서 진주를 중심으로 한

          경남의 서부지역에 대한 역사 이야기를 올리도록 하겠심미더...

 

                    2013. 12. 21  수정 ... 사진  글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