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고향 晋州.

국립진주박물관 - 11, 경남의 옛 절터 에서 출토된 유적들...

by 五江山 2013. 12. 5.

 

 

 

                  서부경남의 가야

 

              가야伽倻는 562년 멸망할 때 까지 하나의 통일된 국가를 이루지 못한 연맹세력으로 결국 신라新羅에 병합되었다.

           가야는 풍부한 철을 바탕으로 중국, 일본 등과 활발히 교역하여 선진문화와 부를 축적함으로써 강력한 군사집단으

           로 성장하였다.

 

           가야의 연맹세력은 대체로 5세기 후반을 경계로 전기와 후기로 구분되는데, 전기에는 낙동강 하류지역의 금관가야,

           후기에는 낙동강 서부지역의 산악지대에 거점을 둔 고령의 대가야가 연맹의 맹주로서 군림하였다.

 

           고령의 대가야를 맹주국으로 한 가야연맹은 합천, 함양, 산청, 남원 등 지리산 주변과 진주, 사천, 고성, 그리고 섬진

           강유역에 이르는 경남 서부지역의 대부분을 포함하는 넓은 세력판도를 형성하였다.

 

           대가야연맹은 전반적으로 유사한 문화권을 형성하면서도 독자적인 세력기반을 가진 연맹의 각 소국들마다 고분의

           입자, 덧널의 배치방법, 순장법, 부장철기, 마구류, 갑옷, 그리고 토기의 조형성 등에서 독특한 문화적 특성이 나타

           나고 있다.

 

 

                   손잡이 달린 항아리                                                굽다리 항아리             

              有蓋 臺附把手附壺(유개 대부파수부호)                                         有蓋臺附壺(유개대부호)


                    합천陜川  반계제磻溪堤  출토出土                                                      진주晋州  가좌동加佐洞  출토出土   

 

 

 

 

 

 

 

 

                                              화로  모양  토기  火爐形土器


                                      전傳  함안咸安

 

 

 

 

 

 

 

 

                                     귀신 무늬 말방울  靑銅鬼面馬鈴 (청동귀면마령)


                                        합천陜川  반계제磻溪堤  출토出土    

 

 

 

 

 

                                                  

 

                   거울 銅鏡                                                                        거울 銅鏡


                진주晋州  중안동中安洞  출토出土                                                               산청山淸 생초면生草面 출토出土  

 

 

 

 

 

 

 

                경상남도 서부지역의 가야  慶南西部地域加耶


                  삼국시대三國時代  가야加耶

 

 

                 경상남도 서부지역의 대가야 연맹은 합천, 함양, 산청 등 지리산 주변과 남강 그리고 섬진강유역에 이르는

                 넓은 세력판도를 형성하였다. 대가야 연맹은 전반적으로 유사한 문화권을 형성하면서도 독특한 지역적 특

                 성을 담고 있다.

 

 

                                                 목걸이 頸 (경식)                                                                      걸이 頸


                                             진주晋州  중안동中安洞  출토出土                                  고성固城  내산리內山里  출토出土 

 

             

 

 

 

 

 

 

        항아리素燒壺(소소호)                               장식이 달린 긴목 항아리 瓔珞附有臺長頸壺 (영락부유대장경호)


      진주州 수정봉水晶峰 * 옥봉玉峰 출토出土                 고성固城  내산리內山里  출토出土 

 

 

 

 

 

 

 

 

              

         굽다리 항아리                  세귀 달린 항아리              배모양 토기             뿔모양 잔

       臺附壺                          三耳附臺附長頸壺               船形土器                角杯(각배)


고성固城내산리內山里출토出土◆ 합천陜川저포리苧浦里출토出土◆합천陜川옥전玉田출토出土◆합천陜川저포리苧浦里출토出土

 

 

 

 

 

 

 

 

 

그릇받침 器臺(뒤에 있는 큰그릇)  굽다리접시有蓋高杯 (중간)  그릇받침器 (뒤에 있는 큰그릇)                   


합천陜川옥전玉田출토出土       ◈    진주晋州  가좌동加佐洞  출토出土   ◈   진주州 수정봉水晶峰 * 옥봉玉峰 출토出土       

 

  

굽다리접시 高杯(앞 왼쪽)        뚜껑접시 蓋杯 (앞 중간)        굽다리접시有蓋高杯 (앞 오른쪽)                


진주州 수정봉水晶峰 * 옥봉玉峰 출토出土   ◈   산청山淸 생초면生草面 출토出土    ◈   산청山淸 생초면生草面 출토出土         

 

 

 

 

 

             합천 영암사터  陜川  巖寺址


             고려 高麗

 

 

                황매산의 남쪽 기슭에 위치한 영암사터는 고려 현종 5년(1014)에 적연선사寂然禪師가 이 곳에서 83세에

                입적했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그 이전에 세워진 것으로 추정된다.

 

 

                            항아리  靑銅壺 (왼쪽 뒷부분 제일 큰그릇)

 

 

 

 

 

 

                              접시 靑銅楪匙 (청동접시)

 

 

 

 

 

 

 

                                                                                      사발 靑銅鉢 (청동발)

 

 

                        김해 덕산리 유적  金海 德山里 遺蹟


                         통일신라 統一新羅

 

 

                각성산의 남쪽 기슭에 위치한 덕산리 유적은 통일신라에서 고려시대에 이르는 건물지이다. 건물지 북동쪽의

                폐와무지에서 불교와 관련된 유물을 비롯하여 많은 양의 고려시대 청자류와 기와가 출토되었다.

 

 

 

        부처 金銅如來立像    보살 金銅菩薩立像                                              경패 金銅經牌

 

 

                      신앙의 산실   “지리산”

 

            경남 서부지역의 대표적인 산,  지리산智異山은 우리나라 토착신앙의 산실이다. 신라시대에는 시조 박혁거세

           를 낳은 성모聖母의 산이자 오악五岳 중의 하나인 남악이었다.  고려시대에는 중사中祀의 제사를 지내던 곳으

           로, 조선시대에는 성모묘가 있던 곳으로서 일찍부터 성스러운 산으로 숭배되었다.

 

           한편 불교는 지리산의 민간신앙과 자연스럽게 융화되면서 이 곳에서 크게 번성하였다. 대표적으로 화엄도량인

           화엄사가 있고, 북종선을 익힌 신행神行에 의해 교종사찰에서 선종사찰로 전환된 단속사가 있었다. 9세기에 들

           어서는 남종선 계통의 실상사, 태안사, 쌍계사, 옥룡사 등이 지리산 자락에 세워졌다. 또한 하동의 쌍계사에는

           통일신라시대의 학자인 최치원이 머물며 불교가 유교와 융합하는 전기를 마련하였다. 고려시대에는 교선일치

           를 주장한 대각국사 의천이 선암사에서 천태종을 개창하였으며, 보조국사 지눌은 신앙결사인 수선사를 중심으

           로 송광사에서 조계종을 열었다. 이렇듯 지리산의 불교사찰은 한국불교의 총체적 실상과 흐름을 주도하였다.

 

           이 외에도 지리산은 조선시대의 남명 조식에 의한 유학의 본산 및 무속신앙과 관련한 산신신앙과 정감록신앙,

           동학계열의 민족종교, 도교의 신선신앙, 청학동의 갱정 유도更正儒道 등과 같이 다양한 신앙의 근거지가 되고

           있다.

 

 

                

 

 

           경자 靑銅磬子                                             사리합靑銅舍利盒 (뒤)      구슬琉璃玉 (뒤)

                                                                      사리병綠琉璃舍利甁(앞)   반지 白銅 * 銀指環(앞)

       

 

   ↑ 진주 남성리 유물 晋州 南城里 遺物 (좌)              함양 승안 사터 咸陽 昇安 寺址 (우)


     고려高麗                                                                                고려高麗  

 

                                                                          

   1995년 진주 남성리에서 대정이십년大定二十年                  1962년 보물 294호 석탑을 옮기는 과정에서 발견된 것으로

    (1180)이 새겨진  경자 등 청동으로 제작한 유물                   탑실 일층 윗면 중앙 원형사리공에 사리구와 1494년 중수에

    이 소량 발견 되었다.                                                         관한 내용을 적은 묵서중수기墨書重修記가 들어 있었다.

    일부 유물에는 장흥사長興寺라는 사찰 이름이 새

    겨져 있다.

 

 

 

 

 

             창녕 말흘리 유적 昌寧 末屹里 遺蹟


                통일신라統一新羅

 

 

                화왕산의 남서쪽 기슭에 위치한 말흘리 유적은 절터로 추정되는 건물지이다.

                출토된 유물들은 대부분 불단을 장식하거나 불교의식에 사용되던 것들이다.

 

 

 

 

 

                               풍경 金銅風磬

 

 

 

 

 

                  구슬 金銅球

 

 

 

 

   

 

              자물쇠 金銅鎖

 

 

 

 

 

 

               향로 靑銅鼎

 

 

 

 

 

 

                     문고리 장식 金銅鋪首門環

 

 

 

 

                         부처가 새겨진 장식판  金銅裝飾鈑

 

              경남의 옛 절터


                    경상남도에는 사찰이였을 것으로 추정되는 불교문화유적이 많이 있다. 찬란했던

                    과거는 사라지고 지금은 그 흔적만이 겨우 남아 있다.

 

 

 

 

 

 

 

                       해인사 묘길상탑의 기록 塔誌


                               통일신라 統一新羅

 

                           탑에 대한 기록인 탑지에는 신라 말 진성여왕 8년(895)에 전란으로 생명을 잃은

                           스님들을 위하여 이 탑을 세웠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

 

 

 

 

 

                                    해인사 묘길상탑의 공양탑  土製小塔


                             통일신라 統一新羅

 

                           공양탑은 현재 157기가 남아 있는데, 무구정광다라니경無垢淨光陀羅尼經에 따르면  99기와 77기를

                       봉안하는 것이 원칙이므로 원래는 이를 합친 176기가 봉안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2013. 12. 23.  수정 ... 사진 & 글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