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고향 晋州.

국립진주박물관 - 13. 남명조식의 실천사상

by 五江山 2014. 2. 1.

 

 

 

 

               남명조식의 실천사상

 

          도덕성을 강조하고 의리와 명분을 중시하는 성리학은 조선의 국가 이념이었다. 이러한 성리학은 16세기 들어 경남

          서부지역의 남명 조식曺植에 의해 크게 발전 하였다. 그는 지리산 아래 산청에 터를 잡고 학문에 정진하며 후진 양

          성에 힘썼는데, 특히 학문에 대한 형이상학적인 궁리보다는 실천을 강조하였으며 성리학적 사회질서 및 윤리도덕

          의 구현에 앞장섰다. 당시 성리학의 대학자 이황에게 보낸 편지 중 “손으로 물 뿌리고 청소하는 절도도 모르면서 입

          으로만 하늘의 이치를 논하는 것은 그만두어야 한다.” 는 글귀는 그의 사고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그의 학문을 한마디로 말하자면 ‘경의사상敬義思想’으로 요약된다. 경敬은 내적 수양을 통해 마음을 밝고 올바르게

          하여 근본을 세우는 것이고, 의義는 경敬을 근본으로 제반사를 대처함에 있어 과단성 있게 실천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일생을 통해 드러나는데 관직에 연연하지 않으며 산림의 처사로서 살았으나 잘못된 정치를 지

          적하는데 주저함이 없었다. 그가 단성현감에 제수되었을 때 이를 사양하면서 올린 “단성소丹城疏”에는 그의 강직한

          마음과 기개가 그대로 배어있다.

 

 

                   국립진주 박물관의 또 다른 전시실의 모습

 

 

 

 

 

 

 

                 강호선생실기 江湖先生實記                                                                     목판본


          일제강점기 日帝强占期 간행

 

           강호 김숙자金叔滋(1389~1456)는 고려말 성리학자인 야은冶隱 길재吉再(1353~1419)에게서 수학하고 아들인

             점필재 김종직에게 가학家學으로써 학통을 이어 이후 영남사림을 형성하는데 중추적 역활을 한 인물이다. 본서

             는 김숙자와 관련된 문서와 기록들을 엮어놓은 것이다.

 

               영남사림의 형성


            

             조선시대 성리학의 핵심가치인 명분과 도덕정치를 실현 하고자 했던 사림士林은 고려말 길재吉再의 학통을 이

             은 점필재 김종직金宗直에 의해 조선시대 초기 영남에서 형성되었다. 그는 지리산 함양 일대에서 김일손金馹孫,

             정여창鄭汝昌 등의 제자를 배출 하였고, 그들의 사상은 16세기 유학의 양대 산맥이라 할 수 있는 퇴계退溪 이황

             李滉과 지리산의 처사 남명南冥 조식曺植에게 이어졌다.

 

                   16세기 대표적 학파와 학자

        퇴계학파 이황

       남명학파 조식

 율곡학파 이이

 화담학파 서경덕

           기대승

           정구

           김성일

           유성룡

          정인홍

          김우옹

          정구

          곽재우

       김장생

      조헌

          박순

        이지함

             

 

 

 

 

 

 

 

 

 

 

                                 화개현구장도 花開縣舊莊圖                   보물 제1046호


                           이징李澄(1581~?) / 조선朝鮮 1643 / 복제품複製品

 

                   1643년(인조 21) 화가 이징이 성리학의 대가 정여창鄭汝昌의 별장을 그린 그림이다. 정여창이 머문

                   별장이 훼손되는 것이 아쉬워 정씨 문중에서 그리도록 항 것으로 성리학자들이 향촌에 은거하며 학

                   문에 몰두하던모습을 볼 수 있다. 하단에는 정여창과 유호인柳好仁의 시, 조식曺植과 정구鄭逑의 글

                   에서 발췌한 기사 등이 적혀 있다.

 

 

 

 

 

              일두유집 一蠹遺集


           정여창鄭汝昌(1450~1504) / 조선朝鮮

 

          김종직金宗直의 문인이었던 정여창의 시문집이다. 이 책에 실린 잡저 중「입지론立志論」은 학문의 목적이

          성인聖人이 되는 것에 있으며 성인이 되기 위해 강한 의지와 흔들리지 않은 굳은 뜻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을

          펴고 있다. 조선전기 성리학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자료이다.

 

 

 

 

 

 

                       탁영선생의 편지 濯纓先生簡札


                  김일손金馹孫(1464~1498)  /  조선朝鮮 / 복제품複製品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소장

 

 

 

 

 

 

               청계서원지 靑溪書院誌                                                                   목활자본


          일제강점기 日帝强占期  1921년 간행

 

          청계서원은 김일손과 정여창을 제향하는 곳이며 청계서원지는 서원의 사적과 연혁 그리고 김일손 정여창의

            행적 등을 기록한 것이다. 「청계서원도」.「진설도陳設圖」등이 있어 서원이 학문 뿐 아니라 제사의 목적이

            있는 곳임을 알 수 있다.

 

 

            지리산의 처사 남명 조식의 삶


           

            조식曺植의 본관은 창녕昌寧이고 호는 남명南冥이며 1501년 6월 26일 경상도 삼가현 토골에서 조언형曺彦

            亨과 인천 이씨 국菊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유교경전에만 한정하지 않고 천문, 지리, 의학, 병

            법 등을 두루 익혀 안목을 넓혔다. 20세 때 기묘사화와 숙부인 언경가彦慶家가 멸문하는 것을 보고 벼슬길을

            단념하였으며,  25세 무렵 산사에서 성리학 대전을 읽고 크게 깨달아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학문에만 매진하

            였다.

 

            30세 때             김해에 산해정山海亭을 지어 안정적으로 학문에 정진하였다.

            48세 때             합천에 뇌룡정雷龍亭을 지어 후학을 양성하였다.  왕의 부름이 여러 차례 있었으나 벼슬을

                                    거절하여 오히려 그의 명성은 점점 높아갔다.

            61세 때             덕산의 산천재山天齋 시절, 60년 간의 자신의 학문과 도덕 * 인격 * 정신 * 사상을 후세에

                                    전하기 위해 인재를 양성하였다.

            66세 때             명종明宗과 독대하고 나라를 다스리는 법과 학문에 대해 논하였다.

            71세 때             선조에게 여러 번 바른 정치를 펼 것을 촉구하였다.

            72세(1572)        2월 8일 천수를 다하였다.

 

 

 

 

 

 

              천석들이 종을 보게나

         크게 치지 않으면 소리가 나지 않는다네

         어떻게 하여야 두류산처름

         하늘이 울어도 오히려 울지 않을까

 

         請看千石鍾  非大扣無聲 (청간천석종 비대구무성)

         爭似頭流山  天鸣猶不鸣 (쟁사두류산 천명유불명)        《남명집》  권1, 2장 〈題德山溪亭柱

 

 

 

 

 

 

           단성현감을묘사직소 丹城懸監乙卯辭


            조식曺植 (1501~1572) / 조선朝鮮

 

            1555년 사림士林의 종사宗師로 추앙받던 조식이 단성현감에 제수되었으나 그는 사직상소를 올렸다.

            상소에는 “문정왕후文定王后께서 신실하고 뜻이 깊으나 궁궐 속의 한 과부요, 전하는 아직 어리시니

            선왕의 고아에 불과합니다. 천백 가지의 재앙을 어찌 다 감당하며 억만 갈래 민심을 어찌하여 수습하

            려하십니까?” 라고 하였다. 당시 척신 정치의 폐해를 비판하고 명종明宗에게 크게 분발할 것을 통렬

            히 촉구하는 등 조식의 기개와 신념을 드러낸 것이다.                 南冥文集 中 乙卯辭

 

 

 

 

 

 

           조식의 편지 남명南冥簡札


               조식曺植 (1501~1572) / 조선朝鮮 /  복제품複製品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소장

 

 

 

 

           

  

        남명학기류편南冥學記類編


           조식曺植 (1501~1572) / 조선朝鮮

 

           남명학기류편에서는 선현들의 언행에서 번거로운 주석이나 논쟁보다도 유학도로서 공부하여야 할 요체와

           본질들을 항목별로 볼 수 있다. 「남명 선생문집」에 기록된 이만인李晩寅의 발문을 보면, 「남명학기류편

           은 조식이 평소 글을 읽을 때 중요한 사항을 수시로 기록한 학습비망록임을 알 수 있다.

 

 

 

 

 

 

        진남루 중수기 鎭南樓重修記


                조선朝鮮    

 

           진남루(鎭南樓)의 중수기이다.  진남루는 경상남도 진주시 남성동에 있는 조선 중기 성곽으로 북장대(北將臺)

           라고도 한다. 임진왜란 때 격전을 벌였던 곳으로 1618년(광해군 10) 병마절도사 남이흥(南以興)이 중건한 이

           래 여러 차례 중수(重修)하였다. 군사 건물 가운데 조선 중기에 속하는 다락집형으로 후대 군사 건물의 모범이

           되었다. 내성 북쪽 끝 제일 높은 곳에 지어져 낭떠러지 아래 성 밖과 성내, 외성에 포진한 성병까지 지휘할 수

           있는 천혜의 요새였다. 그래서 편액은  <진남루(鎭南樓)> 인데 공북루(拱北樓)라는 별칭으로도 불렀다.

 

 

 

 

 

 

        이세후 어사화 李世垕御賜花


           조선朝鮮  1726년                                                                                                           이규석  소장

 

           1726년(영조 2)  이세후가 대과 급제 때 하사받은 어사화다.  조선시대에는 과거에 급제한 사람은 어사화의

           한쪽 끝을 복두 뒤에 꽂고, 다른 한 끝은 명주실로 잡아매어 머리 위로 넘겨서 입에 물고 3일 동안 일종의 시

           가행진인 ‘유가 遊街 ’를 하였다.

 

 

 

 

 

 

                       동자상 童子像 / 향로 香爐


                         조선朝鮮                                                                                                     박낙곤  기증

 

 

 

 

 

 

 

                     광서 박진영 교지 敎旨


                 조선朝鮮

 

                 만력萬曆 47년(1619) 3월 11일에 박진영朴震英을 절충장군행용양위부호군折衝將軍行龍驤衛副護軍

                 으로 임명하는 교지이다.

                 박진영은 남명 조식의 문인들로부터 학문을 배웠으며,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왜적을 물리친 공

                 로로 선무원종공신삼등宣武原從功臣三等에 책록되었다.

                                                                                                                                            박낙곤 기증

 

 

 

 

 

       

              내암선생문집 萊菴文集                                             시도유형문화재 제330호(경상남도)


            정인홍鄭仁弘(1535~1623) / 조선朝鮮

 

 

 

            합천陜川에서 태어난 내암萊菴 정인홍의 시문집이다. 정인홍은 남명 조식曺植의 제자로 스승의 실천사상을

            이어받아 1592년 임진왜란 당시 합천에서 의병을 모아 성주星州에서 왜병을 격퇴하여 영남의병장의 호를 받

            았다. 후일 이언적李彦迪 * 이황李滉의 문묘종사를 반대해 탄핵을 받고, 1623년 인조반정으로 몰락하였다.

 

                                                                                                                           서산정씨내암공파문중  소장

 

 

 

 

 

 

        정온의 편지 鄭蘊簡札


           정온蘊(1569~1641) / 조선朝鮮

 

 

           내암 정인홍의 수제자인 동계桐溪 정온의 편지글이다. 1627년 정묘호란이 일어나자 행재소行在所로

           왕을 호종하였고, 1636년 병자호란 때에는 명과 조선과의 의리를 내세운 화의주장을 적극 반대하였다.

           강화도가 함락되자 칼로 자결하였으나 목숨은 끊어지지 않았다. 그의 현실대응자세는 조식에서 정인홍

           으로 이어지는 강개한 기질을 이어받는 것이다.

            

 

 

 

 

                    김면의 편지 金沔簡札


                            김면金沔(1541~1593) / 조선朝鮮 / 복제품複製品

 

 

                            고령 출신 송암松庵 김면의 편지글이다. 김면은 조식曺植을 스승으로 삼고 가르침을

                            받았으며 이황의 문하에서 성리학을 연마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5월에 조종도趙

                            宗道 * 곽준郭䞭 * 문위文緯 등과 함께 거창과 고령에서 의병을 일으켰으며 전장에서

                            병으로 죽게된다. 

                                                                                                              성균관대학교 박물관 소장

 

 

 

 

 

       부사집 浮査集                                                                           목판본


          조선 朝鮮  1785년 간행

 

 

 

          부사 성여신 成汝信(1546~1632)의 문집이다. 성여신은 임진왜란을 겪은 뒤로 선비들이 학문을 알지

          못함을 걱정하여 여씨향약呂氏鄕約과 퇴계동약退溪洞約을 본받아 상호부조와 학문연마를 시행케 하

          여 학풍이일어나게 하였다. 이 책에는 그가 지리산을 유람하였던 내용과 시가 기록되어 있다.

 

 

 

 

 

 

                                  

                                      이광악  초상  李光岳 肖像


                               조선朝鮮 17세기 / 복제품複製品 

 

                               진주대첩을 승리로 이끈 곤양군수 이광악(1557~1608)을 선무공신宣武功臣 3등에 책

                               봉한 후 그린 이광악의 초상화 이다. 임진왜란 공신으로 책봉된 이들에게는 여러 가지

                               하사품이 있었는데 그 가운데 하나인 초상화이다.

                                                                                                                              독립기념관 소장

 

 

 

 

 

 

        태평회맹도 太平會盟圖                                                                    보물 제668호


          조선朝鮮  1604년

 

          임진왜란 공신인 호성공신扈聖功臣, 선무공신宣武功臣, 청난공신淸難功臣, 임진왜란 이전에 책록된 광국공신光國

          功臣과 평난공신平難功臣 등이 모여 회맹을 여는 장면이다. 회맹제를 시행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과 그 좌측으로는

          참여자들 63인의 명단이 있는데 각공신의 본관 * 생년 * 성명을 기록하였다. 세 번째 폭 첫 번째 줄에 선무공신 3등

          에 오른 이광악이 등재되어 있다. 

                                                                                                                                                         권경민 소장

 

 

 

 

 

 

                이광악  장검  李光岳 長劍


                      조선朝鮮 

 

                                                                                                                              독립기념관 소장

 

 

 

 

 

 

          국립진주 박물관 1층에 전시되어 있는 유물, 교지와 서책들...

 

 

 

 

 

 

                  선조어보 宣祖御寶


               조선朝鮮  1892년

 

               1892년(고종 29) 5월 2일 임진왜란 5주갑(300년)을 맞아 고종이 선조에게 ‘경명 신력 홍공 융업景命神

               曆弘功隆業’ 이라는 존호를 새로 올리면서 다시 만들어 바친 어보이다. 인면에는 ‘소경 정륜 입극 성덕

               홍렬 지성 대의 격천 희운경명 신력 홍공 융업 현문 의무 성예 달효 대왕지보 昭敬正倫立極盛德洪烈至

                誠大義格天熙運景命神曆弘功隆業顯文毅武聖睿達孝大王之寶’ 라고 새겨져 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논개초상 論介肖像


                              대한민국 1955년 / 김은호 필

 

                              제2차 진주성 전투 당시 일본군 장수를 안고 남강에 투신한 논개를 그린 초상이다.

                              진주성 내 의기사 義妓祠에 모셔져 있었으나, 윤여환이 그린 새로운 논개 초상으로

                              교체되었다.

                                        

 

 

 

 

           청구야담 靑邱野談


          조선朝鮮 19세기

 

        「청구야담」은 실제 인물도 등장하기는 하지만 익명의 인물들이 보다 많이 등장한다. 이는 허구적인 요소를

         배합하여 흥미와 교훈을 가미한 것이다. “진양성의 의기가 생명을 버렸다〔晋陽城義妓捨生〕” 의 제목으로

         논개 이야기를 싣고 있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어우야담 於于野談


                조선朝鮮

 

                조선 중기의 문인 어우당於于堂 유몽인柳夢寅(1659~1623)이 지은 수필성격의 설화집이다. 2차 진주성

                전투 직후 일본군 장수를 붙잡고 남강에 투신 자결한 논개論介의 이야기를 처음으로 소개하였다.

 

 

 

 

 

 

             

 

             진주성도晋州城圖

 

 

 

 

                      이번 포스트는 여기 까지만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