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고향 晋州.

국립진주박물관 - 15. 근대민중운동.

by 五江山 2014. 2. 17.

 

 

 

 

               근대민중운동

 

           조선 후기 경남의 서부지역은 봉건적 사회체제를 해체시키고 근대로 나아가는 항쟁의 장이였다. 1862년

           유계춘柳繼春을 비롯한 몰락한 양반층과 빈농들이 중심이 되어 일어난 진주농민항쟁이 대표적인 예이다.

           농민들이 춘궁기에 곡식을 빌려 가을에 갚는 환곡還穀제도는 지방 수령과 서리들의 횡령으로 늘 부족하

           였다. 지방 수령들은 이 부족분을 농민들에게 부과하여 중앙에 납입하려 하였는데 경상도우병사 백낙신

           의 수탈은 특히 심했다. 이에 분노하여 일어난 것이 진주농민항쟁이다. 이 항쟁은 비록 10여일 만에 끝났

           지만 환곡의 폐단에 대한 중앙정부의 제도 개선과 농민항쟁이 전국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으며,1894

           년 발발한 동학농민운동의 밑거름이 되었다.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자 이 곳 지리산 일대는 영 * 호남이 연대한 농민군의 활동무대가 되었다. 또한 한

           말 의병활동 과정에서 장기항전의 중요 기지이자 마지막 보루이기도 하였다.

 

           이 지역의 또 하나의 민중운동은 1923년 백정들에 의해 일어난 형평운동이다. 가축을 잡는 일과 가죽제품

           을 만들어 파는 백정은 노비나 무당보다 낮은 천민 중의 천민 신분으로 심한 차별을 받고 살았다. 이들은 “

           계급철폐, 모욕적인 칭호 폐지, 교육 장려 ” 등을 부르짖으며 저울처름 평등한 사회가 되기를 원하였으며,

           그 목소리는 봉건사회가 해체되어 가는 시기에 인권의식으로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국립진주박물관 1층 진주농민항쟁 전시실.

 

           1862년 진주농민항쟁

 

         19세기 조선은 사회질서가 무너지고 관료들의 부정부패가 심하였는데, 특히 환곡還穀의 문란과 도결都結은 농가를

         파탄에 이르게 하였다. 진주 일대에서도 경상도우병사 백낙신白樂莘의 불법적 수탈이 극에 달하자 농민들은 관청과

         조정에 소장訴狀을 내어 호소하였다. 그러나 소장은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더 이상 참을 수 없었던 농민들은 1862년

         2월 14일에 봉기 하였다. 이러한 진주농민항쟁은 봉건적 조선사회의 해체를 촉진시켰으며 이후 여러 지역에서 일어

         난 농민항쟁에 영향을 주었다.

 

 

 

 

 

 

          단계일기端磎日記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07호


         김인섭金麟燮(1827~1903) / 조선 朝鮮 / 복제품 複製品

 

 

 

 

         단계端磎 김인섭이 13세 되던 1839년부터 77세 되던 1903년까지 쓴 일기이다. 기사는 매우 간결해 하루의 중요

         일과를 20여자 내외로 기록하였다. 읽은 책, 교우관계 등을 비롯하여 19세기 당시 농촌사회의 모습, 지방 양반의

         생활 및 의식구조와 처세, 관건과의 갈등 등이 생생하게 나타나 있다. 특히, 김인섭은 아버지 김령金欞과 함께 18

         62년(철종 13)의 단성항쟁을 주도하여서 당시의 상황을 이 일기에 상세히 기록하였다.

                                                                                                                                                     김동준 소장

 

 

 

 

 

 

         간정일록 艱貞日錄


            김령金欞(1805~1865) / 조선 朝鮮 / 복제품 複製品

 

 

 

          산청 단성에서 일어난 백성들의 항쟁을 이끈 해기海寄 김령의 기록이다. 이 일기는 김령이 단성항쟁을 주도한

          혐의로 진주로 끌려가 고초를 겪은 1862년 6월 초부터 전라도 영광 임자도로 유배되었다가 돌아온 직후인 18

          63년 12월 말까지의 사정을 일기형식으로 적은 것이다. 당시 진주민중항쟁에 연루된 인물들의 기록이 있다.

 

                                                                                                                                                   김동준 소장

 

 

 

 

 

 

        촉영민장초개책 矗營民狀草槪冊


           조선 朝鮮 / 복제품 複製品

 

 

           진주농민항쟁 직후인 1862년(철종 13) 5월 15일부터 12월 30일까지 경상도 백성들이 경상우병영慶尙右兵營,

          촉영矗營에서 받은 백성들의 소장과 이에 대한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의 처리 내용을 간략하게 기록해 놓은 것

          이다.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정진 正進


             1929 / 복제품 複製品

 

 

             1929년 1월 형평사 중앙총본부에서 발간하여 배포한 연속간행물 「정진」의 창간호 이다. 창간호에는

             “형평운동의 정신”, “형평운동의 의의와 역사적 고찰” 등을 비롯하여 “가정강좌” 등의 일반 생활기사

             도 실려 있다.

                                                                                                                                     국회도서관 소장

 

 

 

 

 

 

        형평사주지衡平社主旨


           1923년 4월 25일 / 복제품 複製品

 

 

 

 

           형평사의 발기 총회 떼 배포된 주지主旨로 창립 취지가 나타나 있다. 내용을 보면 “공평公平은 사회의 근본이요.

           애정은 인류의 본량本良이다. 그리하여 우리는 계급을 타파하며, 모욕적 칭호를 폐지하며 교육을 장려하여 우리

           도 참사람이 되기를 기함이 본사의 주지이다. ” 라고 밝히고 있다.

 

 

 

 

 

 

 

 

 

                                                   형평사 포스트 衡平社宣傳畵


                                         1928 / 복제품 複製品

 

 

                                         형평衡平운동이 활발하게 벌어지던 시기인 1928년 제6회 정기 전국대회

                                         포스트이다.

 

 

 

 

                1층 전시실을 나가는 입구 이다. 

               위의 사진은 2014년 1월 29일에 촬영한 사진이고 2012년 10월에는 또 다른 모습이여서

               올려본다.

 

 

 

 

 

                        2012년 10월 축제 때의 1층 전시실 출입구 모습.

 

 

 

 

 

 

              위의 사진을 조금 확대해서 보면은 이렇다...

 

 

 

 

 

 

 

 

 

 

 

 

 

 

 

 

 

 

 

 

 

                           전시실을 나가는 통로 벽면에는 유물사진과 유물의 이름이 붙어 있었다.

 

 

 

 

 

                     국립진주박물관 벽면에 붙어 있는 경상남도 위성지도.

 

 

 

 

 

 

 

           국립진주박물관의 벽보판에는 나주박물관의 기획전시실에서 전시하는 포스트가 붙어 있었다.

 

 

 

 

 

 

                국립진주박물관의 1층 전시실에서 바라본 박물관 외부풍경이다. (2014년 1월 29일)

             박물관을 둘러보고 두암관으로 가기전 커피한잔을 마시며 잠시 휴식을 취했다.

            이제 국립진주박물관 2층과 1층을 다 구경 했으니 또 다른 전시실을 둘러 보아야 겠다.

 

 

 

             이번 포스트는 여기까지 하고 다음 포스트는 1900년도 초기 진주성의 모습을 보여 드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