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고향 晋州.

국립진주박물관 - 17. 두암관 1.(2012.10.)

by 五江山 2014. 2. 25.

 

 

 

              이제 지리산 자락의 하동 섬진강 일대에서 수록된 정보를 전시하는 두암관으로 옮겨서 구경을 해보자.

              그런데 2012년에 처음으로 두암관을 방문 했는데, 2년후 2014년 두암관을 방문하니 많이 달라져 있었다.

              이번 포스트 에서는 2012년의 두암관 모습을 먼저 올리고 2014년의 두암관 모습은 다음 포스트에서 보

              여 드리겠습니다.

 

                          인문지리적 환경

 

              지리적으로 하동은 동쪽의 진주, 서쪽의 구례 * 광양, 남쪽의 남해, 북쪽의 구례 * 남원과 경계를 이룬다.

              지리산과 접한 북쪽은 지세가 높고, 남쪽은 지세가 비교적 평탄하다.

              지리산에서 발원하는 여러 갈래의 시냇물이 강으로 유입 되면서 수려한 경관을 조성하였다. 특히 하동의

              동맥 이라 할 수 있는 섬진강은 영남과 호남, 그리고 내륙과 해안을 연결하는 고리였다. 산과 강, 그리고

              바다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물산들이 하천을 통해 교역되었다.

              자연 속에서 터전을 잡은 사람들의 발자취는 세종실록 지리지, 동국여지승람과 같은 고문헌에 기록되었

              고, 동여와 해동지도 등의 옛 지도에도 표기되었다. 여기에는 두 갈래의 계곡물이 마주하는 곳에 위치하

              는 쌍계사, 섬진강변 나루터, 폐허가 된 고읍성 등 옛 하동을 살피는 다양한 정보가 수록되어있다.

                            

 

                2012년 10월의 두암관 입구

 

 

 

 

 

 

                  조선후기지방지도 하동


          朝鮮後期地方地圖 河東                   

 

                                                                                                                          조선(1872년)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정수리에서 출토한 구석기시대의 유적물 및 횡천리유적,  목도패총 출토품 등...

             오른쪽 뒷부분의 항아리는 띄밭골에서 출토한 적색마연토기단경호

 

 

 

 

 

 

          우복리 유적 출토품 및 홍룡리 유적 출토품

 

 

 

 

 

 

             윗사진 가운데부분을 좀더 가까이에서 촬영을 한것이다.

           목걸이는 고이리에서 출토한 유적물이다.

 

 

 

 

 

 

            하동읍성에서 다량으로 출토된 삼총통과 정개산성에서 출토된 중완구

 

 

 

 

 

 

 

           원강사지에서 출토된 유물 그리고 뒷부분은 금오산 마애불 탁본이다.

 

           원강사지


        元岡寺地   고려

 

 

           형제봉의 서남쪽에 있던 절터로 지금의 화개인 부춘리 일대이다. 금당지와 더불어 주변 부속 건물지와

          우물터가 남아있다.

            

 

 

 

 

 

 

               청동범종 靑銅梵鐘

 

 

 

 

 

 

          최치원 초상 崔致遠肖像                                서산대사 진영 西山大師眞影


       조선朝鮮   복제품複製品   1793년                                        조선朝鮮 

 

       통일신라 말기의 유학자 고운 최치원(857~?)의             임진왜란때 승병장으로 활약한 서산대사 휴정(1520~1604)의

       초상화이다. 최치원은 통일신라 말기 어지러운              진영이다. 서산대사는 지리산에 오랫동안 기거하면서 『선가

       세상을 등지고, 지리산에 들어와 더러운 말을 듣            귀감』등의 저술활동을 하였는데, 지리산과 관련된 많은 기록

       지 않기 위해 귀를 씻었다는 전설이 ‘세이암’ 이              을 남겼다. 지리산과 금강산을 비교하면서 “(금강산은) 수려하

       라는 바위와 함께 전해지고 있다.                                  나 장엄하지 못하고〔秀而不壯〕, (지리산은) 장엄하나  수려

                                                                                        하지 못하다〔壯而不秀〕” 라고 하였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87호

                                             경주최씨 문중 기탁                                                                             국립중앙박물관

 

 

 

 

 

 

 

 

 

 

 

 

 

                                             청자상감매화 * 대나무 * 학무늬매병


                             靑磁象嵌梅竹鶴文梅甁                           보물 제1168호

 

 

                             고려 12세기 후반  적량면 우계리 발견

                                                                                                                                                 국립중앙박물관

 

 

 

 

 

 

 

                       두암관 전시실 ... 청파집 목판과 옥적 및 세이암(洗耳嵒) 탁본 등이 전시되어 있다.

 

 

 

 

 

 

 

             청파집 목판


          靑坡集木板              조선朝鮮  1853년

 

 

          조선 성종 때의 문신 청파 이육(李陸 1438~1498)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하여 제작한 판목이다.

          이육은 세조 8년(1462년) 지리산에 들어가 3년동안 지리산을 유람하고 ‘유두류산록’ 이라는 기

          행문을 남겼다.

 

          옥적


          玉笛  조선朝鮮 

 

          고성 이씨 집안의 옥피리로 19세손인 이순영씨가 보관 해오던 유물이다. 1495년 이육(李陸 1438

          ~1498)이 명나라 사신으로 갔다가 받아온 것으로 전해진다.

          

 

              

 

 

 

                          경순왕,  강민첨, 정몽주, 최익현 의 초상화가 전시실에 걸려 있다.

 

 

 

 

 

 

                                          경순왕 어진


                                  敬順王 御眞  조선朝鮮  18세기

 

 

 

                                 신라 제 56대 마지막 임금 경순왕(?~979년)의 초상이다. 경순왕을 모시던 사당은

                                 원래 용화산 학수사에 있었으나 후에 하동군 청암면 중이리에 ‘경천묘’라는 사당을

                                 세웠다. 이 그림은 그때 그려진 것으로 보인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 474호            경주김씨 문중 기탁

 

 

 

 

 

 

                                           강민첨 초상


                                    姜民瞻 肖像     조선朝鮮

 

 

 

                                   귀주대첩을 승리로 이끌었던 고려 현종 때의 장군 강민첨(?~1021)의 초상화이다.

                                   옥종면에 위치한 장군의 사당인 두방재에 모셔져 있다. 그림 왼쪽에 ‘1790년 16대

                                   후손이 이전에 있었던 초상을 다시 그리고, 31대 후손이 장황을 새로 하였다’ 는 기

                                   록이 있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 453호           진주강씨 은열공대종회  기탁

                                      

 

 

 

 

 

                                          정몽주 초상


                                 鄭夢周 肖像 조선朝鮮  1835년

 

 

 

                                고려의 충신 포은 정몽주(1337~1392)의 초상화이다. 옥종면 옥산서원에 모셔져 있다.

                                문중의 문집에 초상을 그린 연도가 나오나 화공은 알 수 없다. 

                                                                                                                           영일정씨  문중 가탁

 

 

 

 

 

 

                                             최익현 초상


                                    崔益鉉肖像  조선朝鮮  

 

 

                                    19세기 한말의 유학자이자 위정척사파 면암 최익현(1833~1907)의 초상화이다.

                                    최치원초상과 더불어 양보면 운암영당에 모셔져 있다. 최익현은 을사조약에 반

                                    대하여 의병을 일으켰다가 체포되었고, 대마도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단식 끝에

                                   순국 하였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 513호            경주최씨  문중  기탁

 

 

 

 

 

 

 

                정기룡장군 장검


                 鄭起龍將軍  長劍        경충사      복제품複製品

 

 

 

           정기룡장군 옥대


                鄭起龍將軍 玉帶         경충사      복제품複製品

 

 

 

               매헌 정기룡


               梅軒鄭起龍

 

 

 

              조선 중기의 무신으로 명종 17년(1562) 하동 곤양에서 출생하여 광해군 14년(1622) 60세로 별세하였다.

              자는 경운(景雲), 호는 매헌(梅軒)이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경상우도병마사 조경(趙儆)의 휘하

              에서 종군하면서 공을 세우고, 이어 거창 * 김천 * 곤양 등지의 전투에서 선전하여 왜적의 호남 진출을

              막는데 기여 하였다. (초상화는 전시가 안되어 있었다.)

 

 

 

 

 

 

 

 

 

 

 

 

 

                   하동군의 주요유적과 유물 출토 장소...

 

 

 

 

 

 

                    지승 하동부


                  地乘 河東府           조선朝鮮 18세기 후반           복제품複製品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해동지도  하동부                                                            보물 제1591호


                                    海東地圖河東府          조선朝鮮  1730년경          복제품複製品

 

 

 

                                    영조때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국 군현지도집이다. 지도의 하동부는 현재의

                                    하동군과 그 주변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군현의 연혁, 산천, 고적, 인구, 전답,

                                    곡물, 토산, 면 이름 등이 적혀 있어 지리지의 성격을 띠고 있다.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나림 이병주 여권(旅券)  


                    1987년                                                                                                                                            

 

                                                                                                                             이병주 문학관

 

                   나림 이병주


              那林 李炳注

 

 

                   1921년 3월 하동에서 출생 하였으며, 1965년 마흔 네 살의 나이에 「소설 * 알렉산드리아」

                   를 〈세대〉에 발표하면서 작가의 길에 들어선 이후 27년 동안 80여 권의 작품을 남겼다.

           

 

 

 

 

 

 

         친필엽서 親筆葉書                   이병주 문학관

 

 

 

 

 

         소설 ‘지리산


            小說 ‘智異山’        대한민국 1991년

 

 

            일제말기부터 8.15해방과 6.25전쟁을 거쳐 휴전협정이 이루어 지기까지를 시대적 배경으로 하여

            남한 내의 빨치산과 남로당  활동을 소설화한 작품이다. 1972년 9월부터 「월간 현대」에 게재되

            기 시작하여, 1985년 마감 되었으며, 1991년 간행되었다. 

                                                                                                                               이병주 문학관

 

        친필원고


           親筆原稿

 

 

          ‘여인의 백야’, ‘수재유감’, ‘영원의 청춘’                                                           이병주 문학관

 

 

 

 

 

 

 

        유물들을 촬영 하면서 혹시나 박물관에 근무 하시는 분들이 뭐라고 할까봐

        조심 조심 촬영을 하다보니 사진이 흔들리고 세밀하게 촬영을 못했다.

        이번 포스트는 여기 까지 하고 다음 포스트 에서는 2014년의 변화된 두암관

        을 둘러 보면서 이야기를 나누도록 하입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