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고향 晋州.

국립진주박물관 - 18. 두암관 2. 분청사기 (2014.1)

by 五江山 2014. 3. 4.

 

 

 

 

           국립진주 박물관 1층 역사 문화실을 둘러보고 이제 두암관으로 가보자.

           2014년의 두암관 모습은 2012년 10월의 모습과는 많이 달라져 있었다.

 

 

               역사 문화실을 나와서 두암관으로 가는 복도 저 끝에 두암관 이라는 팻말이 붙어 있다.

 

 

 

 

 

 

                                   두암관 입구

 

 

 

 

 

                                                   두암 김용두 선생 조각상

 

 

 

 

 

 

 

 

 

 

 

 

           화살표가 그려진 길을 따라 걸어가니 도자기 유물이 먼저 시야에 들어온다.

 

 

 

 

 

 

                             국화덩굴무늬 주전자


                        청자철화국화당초문주자 靑磁鐵畵菊花唐草文注子     고려 12세기

 

 

 

                        전체적으로 금속기적인 특징이 엿보이는 주전자에 철사안료로 몸체에는 국화문을 그리고,

                        주변은 당초문으로 장식하였다.

 

 

 

 

 

 

                                            국화무늬 납작항아리


                                   청자상감국화문편호 靑磁象嵌菊花文扁壺           고려 13~14세기

 

 

 

                                   옆면을 두들겨 평편하게 만든 청자항아리로 중앙에 능화형 창 (◇)이 있고,

                                   그 안은 국화문을 도장으로 찍어 상감하였다. 능화형 창 밖은 구름과 학이

                                   흑백상감 되어 있는데, 학의 머리가 아래를 향하고 있어 쇠퇴기의 청자임을

                                   알 수 있다.

 

 

 

 

                                   

 

                                                 연꽃덩굴무늬 네귀항아리


                                       분청사기상감연당초문사이호粉靑沙器象嵌蓮花唐草文四耳壺     조선 15세기

 

 

 

                                      태(胎)를 담았던 것으로 여겨지는 항아리로 어깨의 네곳에 귀가 달려있다.

 

                                      몸체에는 만개한 연꽃과 봉오리형 연꽃을 배치하고 주변은 당초문을 상감

                                      하였다.

 

 

 

 

 

 

                                              연꽃풍경무늬 납작병


                                     분청사기조화어문편병粉靑沙器彫花魚文扁甁           조선 15세기말~16세기

 

 

                                    풍만한 몸체의 양면을 두들겨 평편하게 만든 편병이다. 전면에는 물고기와

 

                                    수초를 새겨(彫花) 연못풍경을 표현하였으며, 옆면에는 꽃을 박지(剝地)기법

                                    으로 표현 하였다.

 

 

 

 

 

 

         꽃도장무늬 잔과 잔받침


            분청사기인화문탁잔粉靑沙器印花文托盞          조선 15세기 초 

 

 

 

            탁잔(托盞)은 잔 받침과 잔을 말한다. 이 잔 받침대는 잔의 굽이 들어가 앉히도록 뚫려 있다.

            그리고 잔과 잔받침에는 만(卍)자와 국화문이 가득 인화되어 있다.

 

 

 

 

 

 

                  인화무늬 대접


                  분청사기인화문대접粉靑沙器印花文大楪                                       조선 15세기

 

 

 

                  비교적 양감 있는 대접의 내외측면을 작은 동그라미 문양으로 빼곡히 장식하였다.

 

 

 

 

 

 

 

                                             모란무늬 항아리


                                      분청사기조화모란문호粉靑沙器彫花牡丹文壺                           조선 15세기

 

 

                                             조화(彫花)란 귀얄로 백토를 바르고 문양을 새기는 기법을 말한다. 이 항아리는

                                     모란문양이 대담한 생략과 자유분방함이 보이는 필치로 새겨져 있다. 길쭉한 형

                                     태의 항아리는 분청사기가 유행하면서 새롭게 등장하여 백자로 이어진다.

 

 

 

 

 

 

             세 잎무늬 장군


             분청사기철화삼엽문부粉靑沙器鐵畵三葉文缶      조선 15~16세기

 

 

             ‘장군’은 술이나 기름과 같은 액체를 담는 옆으로 긴 형태의 그릇을 말한다. 몸 전체에 분을 바르고 그 위에

             검은 안료로 힘있게 세 개의 잎사귀를 그렸는데 그 식물이 X자로 교차되어 있다. 특히 유약이 발려지지 않

             은 옆면은 대나무 칼로 바닥을 다진 흔적과 모래가 일부 붙어 있어 이 부분을 바닥에 두고 구웠을 것으로

             여겨진다.

 

 

 

 

 

 

                                            덩굴무늬 병


                                   분청사기철화당초문병粉靑沙器鐵畵唐草文甁        조선 15~16세기

 

 

 

                                   철화분청사기로 유명한 계룡산일대의 학봉리 가마에서 제작된 철화병과 유사하다.

                                   몸체는 귀얄로 백토를 발랐으나 일부분은 태토가 드러나 있다. 거침없는 필치의 당

 

                                   초문과 더불어 자연스러움이 엿보인다.

 

 

 

 

 

 

            덩굴무늬 대접


            분청사기철화당초문대접粉靑沙器鐵畵唐草文大楪       조선 15~16세기

 

 

            옆면이 사선으로 뻗어 삿갓모양에 가까운 대접이다. 입부분과 굽 주변을 제외한 전체에 백토를 바르고

            바깥면에는 X자형으로 교차되며 세련된 운필로 당초문을 세 곳에 배치하였다.

 

 

 

 

 

 

         덤벙무늬 제기


            분청사기덤벙문삼족제기粉靑沙器粉粧文三足祭器       조선 15세기 후반~16세기

 

 

            입부분이 사각형에 가까우며 몸체는 반타원형의 다리가 셋 달린 제기로 중국 금속제 제기를 본떴다.

            표면에는 잡물이 많은 녹갈색 태토를 감추기 위해 백토를 짙게 칠하거나 덤벙 장식을 했다. 이런 독

            특한 양식의 유물은 한국에서만 볼 수 있다.

 

 

 

 

 

 

 

                                            대나무무늬 대나무모양병


                                   백자철화죽문죽절형병 白磁鐵畵竹文竹節形甁       조선 17~18세기

 

 

 

                                   긴 원통형의 병은 조선시대 후기에 많이 만들어 졌으나 몸체를 다시 대나무형으로

                                   깎은 것은 희귀한 예이다. 또한 이러한 대나무형태에 아래에서부터 시작한 대나무

                                   그림이 어깨에까지 걸쳐 이어져 있어 그 운치를 더한다.

 

 

 

 

 

 

         구름과  용무늬 항아리


             백자철화운룡문호 白磁鐵畵雲龍文壺       조선 17세기

 

 

 

             도자기 문양의 소재로 널리 유행하던 용은 엄격함을 갖춘 것과 반추상화되어 희화적으로 표현된 것이 있다.

             이 항아리의 용무늬는 후자의 경우에 속하며 빠른 필치로 표현되어 있지만 추졸하거나 세속적이지 않다.

             형태에 있어서도 조선중기 항아리의 특징을 보여주는 넉넉함과 소탈함이 엿보인다.

 

 

 

 

 

 

 

              꽃과 새무늬 각진항아리


              백자동화화조문각호 白磁銅畵花鳥文角壺       조선 18세기 후반

 

 

 

             ‘동화(銅畵)’는 산화동으로 그림을 그린 후 환원불로 소성하였을 때 붉은 색을 띠는 문양을 말하는데 우리나라는

             일찍이 사용되었으며, 조선시대에는 17세기 이후 일부 성행하였다. 이 항아리는 어깨 면에 꽃과 당초문을 그리

             각면에 원을 돌려 그 안에 새를 그려 넣었다.

 

 

 

 

 

 

                  분청사기 유물을 둘러보다보니 전시실 가운데 목조로 조각된 유물이 전시되어 있다.

 

 

 

 

 

 

                                                       업경대 전면

 

 

 

 

 

                                                        업경대 후면

 

 

 

 

 

 

                                                                    업경대 측면

                                                 업경대


                                       목조업경대 木造業鏡           조선 19세기

 

 

                                       업경(業鏡)은 불교에서 죽은 사람의 업을 보여준다는 거울이다. 이 업경대는

                                       사찰의 법당을 꾸미는 장엄 장식도 겸하는데 전체적인 모습이 신령스러운 거

                                       북이가 연꽃을 싣고 항해하고 있는 형태이다. 맨 위에는 동자와 누워 있는 소

                                       를 그린 둥근면이 있어 업경을 상징한다.

 

 

 

 

 

 

          납작병


              백자편병 白磁扁甁     조선 17세기 

 

 

              조선 전기 편병은 분청사기로 많이 만들었으며 백자류는 희소하다. 이 편병처름 동체가 원반형인 것은 

              대개 조선 중기 이후의 형식이다. 몸체는 물레로 원형접시 모양을 만들어 서로 접합하였다.

 

 

 

 

 

 

                                           


                         백자병 白磁甁     조선 16세기 

 

 

                                   입부분이 부드럽게 외반된 나팔형이며 외측선이 목에서부터 유연한  곡선을

                                   그리며 배 부분이 풍만하게 둥근 소위 ‘옥호춘병(玉壺春甁)’이라고 불리는 병

                                   이다.

 

 

 

 

 

                                           달항아리

 

 

 

 

 

                                            달항아리  


                                    백자호 白磁壺     조선 18세기 

 

 

                                    소박하지만 푸근한 보름달을 연상시키는 둥근 항아리를 ‘달항아리’라고 부른다.

                                    이 항아리는 두 개의 큰 그릇을 자연스럽게 맞대어 붙여 배 부분의 선이 다채롭

                                    게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달항아리는 보통 입을 예리하게 처리하는 데 비해 입

                                    과 목이 다소 높게 처리되는 등 달항아리의 변화상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파초무늬 필통


                백자투각파초문필통 白磁透刻芭蕉文筆筒     조선 19세기

 

 

                투각(透刻)은 문양 주변을 도려내어 문양이 도드라지는 기법을 말한다.

                조선 후기에 다양하게 나타나는 문방구류 중 하나인 이 필통은 위아래

                에 거의 같은 폭의 공간을 두고 그 사이에 풀잎무늬를 파내어 장식하였다

 

 

 

 

 

 

          제기


              백자제기 白磁祭器       조선 18~19세기

 

 

 

              몸체를 사각형으로 부드럽게 둥글린사각제기이다. 네 각의 입술부분에서 몸체, 굽에 이르기까지

              톱니형 돌기가 길게 붙어 있으며, 몸체의 톱니형 돌기와 엇갈리게 반원형의 구멍이 뚫려 있다.

 

 

 

 

 

 

                                            ‘제주 글자새김 병


                                        백자양각제주명병 白磁陽刻祭酒銘甁      조선 19세기

 

 

 

                                        긴 목을 가지며 아래가 풍만한 이 병은 몸체에 ‘제(祭)’ ‘주(酒)’ 자가

                                        양각되어 있어 제례용으로 제작된 것임을 알 수 있다.

 

 

 

 

 

 

                                           매화와 대나무무늬 각진병


                                       백자청화매죽문각병 白磁靑畵梅竹文角甁        조선 18세기 후반 

 

 

 

                                       몸체 아래에 땅을 표현한 선을 두 줄 넣고 그 선에 붙여 한 쪽에는 매화를

                                       다른 한 쪽에는 대나무를 그려 넣었으며, 그 사이사이에 무늬를 표현하여

                                       조선 후기 각병의 특징을 잘 드러내고 있다.

 

 

 

 

 

 

          모란무늬합


              청화백자모란절지문합 靑華白磁牡丹折枝文盒    조선 19세기

 

 

              합(盒)은 그리 높지 않은 그릇에 뚜껑이 함께 있는 것을 말하는데 떡국 * 밥 * 장국 * 약식 등을 담는

              그릇으로 사용되었다. 이 합은 뚜껑의 윗면에 도안화된 ‘수(壽)’ 자문을, 뚜껑과 몸체에는 모란절지문

              을 가득히 그려 넣었다.

 

 

 

 

 

 

        풀꽃무늬 대접


           백자청화초화문대접 白磁靑畵草花文大楪      조선 19세기 말

 

 

           푸른 안료로 장식된 대접이다. 그릇의 바깥 면은 구획을 나눠 창을 내고 그 안에 풀꽃무늬를 배치하였고,

           그릇 안쪽에는 풀꽃과 덩굴무늬가 입술 부근에 돌려져 있다. 입은 다소 바깥으로 벌어져 있고 몸체는 급

           하게 경사를 그린다.

 

 

 

 

 

 

                                               꽃과 새무늬


                                        항아리 백자청화화조문호 白磁靑畵花鳥文壺        조선 18세기 후반 

 

 

                                        푸른빛이 감도는 청화안료로 농담을 조절하여 꽃과 나뭇가지 위에 작은

                                        새들을 부드럽게 표현하였다. 입술 부분은 곧게 서 있으며 어깨부위는

                                        당당하게 풍만하며 아래로 내려가면서 좁아지는 형태이다.

 

 

 

 

 

 

                                         구름과 용무늬 항아리


                                   백자청화운룡문호  白磁靑畵雲龍文壺    조선  18세기 후반 

 

 

                                   조선시대 사옹원(司饔院)의 분원(分院)이 지금의 경기도 광주군 분원리에

                                   정착했던 시기에 만들어진 전형적인 입호(立壺)이다. 입부분과 굽 주위에

                                   각각 커다란 여의두문대(如意頭文帶)를 두고 그 사이의 넓은 공간에 왼쪽

                                   으로 향하는 구름과 용이 날리듯 그려져 있는데 청화의 발색(發色)은 비교

                                   적 옅으나 농담을 달리하여 표현되어 있다.

 

 

 

 

 

 

                    칠보무늬 주전자


                   백자청화칠보문주자  白磁靑畵七寶文注子    조선  19세기

 

 

 

                   뚜껑은 중앙에 박과식물 모양의 꼭지가 달려 있으며, 몸체에는 양면에 칠보문 중 은보문을,

                   주구의 양쪽에는 박쥐문을, 뒤편에는 초화문을 배치하였다.

 

 

 

 

 

 

                                           칠보와 글자새김 항아리


                                    백자청화칠보문자문호 白磁靑畵七寶文字文壺    조선 19세기 

 

 

 

                                    입과 목은 비교적 높고 곧게 처리하였으며 바깥 면에는 덩굴무늬가 돌려져 있다.

                                    일곱 가지 길상(吉祥)을 상징하는 칠보문 사이 공간에 ‘수(壽)’  ‘복(福)’  ‘기(器)’라

                                    는 글자를 배치하여 다복과 안녕을 기원하고 있다.

 

 

 

 

 

                                             이번 포스트는 여기까지 입니다.

                                     다음 포스트는 농, 소반, 함에 관련된 주제로 이야기를 올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