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고향 晋州.

국립진주박물관 - 19. 두암관 3 농, 소반, 함.

by 五江山 2014. 3. 14.

 

 

 

 

           두암관에서 분청사기에 대해서 구경 하였으니 이번에는 농과 소반, 그리고 함을 보면서 내려 가보입시다.

 

 

            박물관의 조명이 어두워서 감도를 최고로 끌어 올렸으나 역시 노이즈가 많이 생기네요.

          박물관에서는 후레쉬나 삼각대를 사용 할 수 가 없으니 그래도 역시 실력의 한계가 있다

          보니 이정도 밖에 촬영을 할 수가 없네요.(머리 극적극적...)

 

 

 

 

 

              장생무늬 이층 농


           나전장생문이층롱 螺鈿長生文二層籠        조선 19세기

 

 

 

           나전 장생무늬 이층롱의 윗부분이다. 상단의 천판에는 장수를 기원하는 ‘수(壽)’ 자를 중심으로 복숭아, 구름,

           학 등을 배치하고, 하단에는 대나무와 소나무, 그리고 사슴, 용, 호랑이를 비롯한 각종 화조문을 가득 메우는

           등 행복하게 오래 살기를 바라는 마음을 자연과 동식물에 비유하여 상징적으로 장식하고 있다.

 

 

 

 

 

 

                                             이층 농   


                                      죽장이층롱 竹欌二層籠           조선 19세기 

 

  

 

                                      이 죽장롱은 마치 하나의 대나무 광주리처름 보인다. 이는 더욱 얇고 가늘게

                                      가공한 대나무를 일반적인 죽장처름 직선으로만 붙이지 않고 광주리 짜듯 짜

                                      맞추어 낸 것을 농의 나무로 된 틀에 부착시켰기 때문이다. 이러한 가공법은

                                      일반적으로 보기 드물다. 대나무는 오래 되면 노란색이 나타난다. 이 특유의

                                      색깔에 걸맞게 경첩이나 자물쇠도 색깔을 맞추어 골랐다.

 

 

 

 

 

 

          꽃과 나비무늬 소반


              나전화접문소반 螺鈿花蝶文小盤      조선 19세기

 

 

              소반은 좌식 생활에 맞추어 발달한 식탁이면서, 음식을 그릇에 담아 나르는 쟁반의 기능을 겸한 생활도구 이다.

              대부분 1인 1반용으로 한 집안에 적게는 4~7개, 많으면 수십 개를 갖고 있었다. 이 소반은 질 좋은 조개로 꽃과

              나비를 가득히 시문한 것으로 보아 지체가 높았던 집안에서 사용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함


              나전함 螺鈿函         조선 18~19세기

 

 

 

              함이란 의류, 패물 등을 넣어두는 상자를 말한다. 조선시대의 함이나 궤류는 보석함을 비롯하여

              실함, 바느질함, 혼함, 문서함, 관복함 등 다양하다. 이 함은 양 사방으로 대나무, 매화, 새, 문자

              등을 나전으로 아름답게 장식하였다.

 

 

 

 

 

 

 

 

 

 

 

 

 

              외다리 소반


            일주반 一柱盤       조선 19세기  

 

 

            한 개의 기둥으로 반을 받치고 있어 일주반, 단각반 또는 외다리 소반이라고도 부른다.

 

            대부분 간단한 주안상 이나 한 그릇의 물, 약, 과일 등을 받치는데 사용한다.

 

 

 

 

 

 

 

 

 

 

 

 

                 거북껍질무늬 좌경


             나전귀갑문좌경螺鈿龜甲文坐鏡        조선  18~19세기 

 

 

             좌경은 화장도구(化粧道具)를 담아 두고 화장할 때 사용하는 규방가구(閨房家具)의 하나로

             경대(鏡臺)라고도 한다. 일반적인 형태는 하단에 여닫이문이 있고 문을 열면 서랍이 있으며

             뒤에는 거울이 있어 뚜껑을 열어 젖혀 비스듬히 세워 사용한다. 전면 전체에 육각형의 귀갑

             문(龜甲文)을 자개로 가득 장식하여 화사하기 그지없다.

 

 

 

 

 

 

 

 

 

 

 

 

 

                     담배합


                  은입사연초합 銀入絲煙草盒        조선  18~19세기 

 

 

                  연초합, 즉 담배합은 담뱃잎을 썬 살담배를 넣어두는 서랍으로 관리나 양반층에서 사용하던 것이다.

                  대개 시우쇠로 만들고 겉에는 은입사를 하였으며, 서랍에는 놋쇠로 된 손잡이가 달려 있다. 윗면과

                  측면의 3면에 모두 은입사로 문양을 나타냈다.

 

 

 

 

 

 

 

 

 

 

 

 

 

                                            주칠 빗접


                                   주칠경대 朱漆鏡臺         조선 19세기

 

 

                                   전체를 붉은  칠을 한 이 경대는 위층에 좌경(거울)을 두었고 아래층에는

 

                                   여닫이문을 둔 작은 장을 두었다. 그 내부에는 3층의 서랍을 두었는데 화

                                   장용 소도구를 넣던 곳이다. 

 

 

 

                                    이번 포스트는 여기 까지 입니다.

                                    다음 포스트 에서는 그림첩을 소개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