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고향 晋州.

국립진주박물관 - 12. 남해의 분사대장도감

by 五江山 2014. 1. 14.

 

 

 

                     남해의 분사대장도감

 

            고려는 1232년(고종 19) 몽고의 침략으로 초조대장경初雕大藏經이 불타버리자,부처의 힘을 빌어 몽고를 물리칠

            목적으로 대장도감과 분사대장도감分司大藏都監을 설치하였다.

 

            분사의 위치는 팔만대징경판의 기록을 토대로 진주 관내인 남해로 추정하고 있다. 남해는 지리적 여건상 몽고군

            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 있고, 밀물과 썰물의 조수 차가 심하여 경판으로 사용해야 하는 목재의 특성을 살리기에

            적합한 장소이기도 하다. 또한 남해가 위치한 진주목은 최씨 무인정권의 식읍지로 분사의 운영을 위한 재정적 기

            반을 갖추고 있었다. 당시 분사를 운영하던 최우崔瑀의 처남 정안鄭晏(?~1251)은 일연一然 스님을 남해의 정림

            사로 청하여 대장경 조판에 도움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외에도 분사대장도감은 단속사斷俗寺 주지 만종萬宗의 재정적 지원을 받아 전란으로 잃은 혜심의《선문염송

            집禪門拈頌集》을 다시 새겨 세상에 전하고 있다.

 

 

 

 

 

 

 

           신행선사 비석 탁본 斷俗寺神行禪師碑拓


 

                석釋 영업靈業 / 통일신라統一新螺(813)

 

         신행선사(704~779)는 깨달음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정진하는 방식을 중시하는 북종선北宗禪을 신라 최초로 도입한

         법랑선사에 이어 단속사에서 선법을 전파하였다.  신행선사를 기리는 이 비석은 현재까지 전하는 가장 오래된 비석

         이지만 이미 없어지고 탁본만 전한다.

 

 

 

 

 

 

                   목판으로 찍은 팔만대장경 八萬大藏經本版本


                   조선朝鮮

 

 

 

         여섯 종류의 경전이 합쳐져 있는 팔만 대장경 목판본이다. “임인년(1242)에 고려국 대장도감에서 칙명을 받들어 만

         들었다”라는 기록으로 미루어 현재 해인사에 보관된 팔만대장경 목판을 이용하여 조선 전기에 간행안 것으로 보인다.

 

 

 

 

                    혜능 스님의 머리가 동쪽으로 온 이유

 

         신라의 승려 삼법三法은 평소 존경하던 당나라의 혜능 스님에게 가르침을 받고자 하였으나 스님의 입적으로 인해 그

         뜻을 이룰 수 없었다. 어느 날 혜능의 《육조대사법보단경六祖大師法寶檀經》에서 누군가 그의 머리를 잘라 간다는

         내용을 접한 삼법은 극심한 불안감을 느끼고, 결국 남보다 앞서 그 예언을 실현하기에 이르렀다.

 

         722년, 삼법은 법정 스님의 재정적 후원을 바탕으로 당의 홍주鴻州 개원사開元寺에서 유학중이던 승려 김대비金大

         悲의 도움으로 혜능의 머리를 몰래 가져와 지리산에 안치하였다. 후에 진감선사가 그 자리에 가람을 세우니 바로 지

         리산의 쌍계사이다. 이러한 내용은 고려시대 각훈覺訓 스님의 《선종육조혜는정상동래연기禪宗六祖惠能頂相東來

         緣起》에 전한다.

 

 

 

 

 

 

 

         도전리마애불상군 道田里磨崖佛像群


      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209호

 

 

 

       도전리마애불상군은 산청군 생비량면을 가로질러 흐르는 양천강을 따라 동서로 길게 이어진 구릉이 끝나는 지점에

        위치한다. 불상군이 새겨진 벽면은 현재 약 10m남아 있으며 기반암의 상부가 앞으로 약간 기울어져 있다.

        마애불들은 일반적으로 10여 구 내외의 여래상과 보살상, 공양자상 등으로 표현되는데 이곳은 다양한 형태와 크기

        의 여래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연재까지 4단 구성에 32구로 알려져 있지만, 조사결과 6단 36구 이상으로 확인 되었

        다. 이렇게 많은 불상들이 무리를 지어 배치되어 있는 경우는 극히 이례적이다.

 

 

 

 

 

 

청자정병 靑磁淨甁


                                                                                고려高麗

 

 

 

 

 

 

 

                                                 전패殿牌


                                    조선朝鮮(1701)

 

 

                             조선시대 사찰의 주불전主佛殿에는 삼존三尊이 봉안되며 또 그 앞에는 대개 수미단

                             須彌壇이 설치된다. 이 수미단에는 왕실 최고 어른의 수명장구壽命長久를 축원하는

                             전패殿牌가 놓이며, 이 전패의 하단 이면에 ‘康熙四年辛巳十月日’ 이란 명문이 있어

                             강희40년(1701)당시 국왕인 숙종(肅宗 1674~1720)년)을 위하여 제작된 것을 알 수

                              있다.

 

 

 

 

 

                  육조대사법보단경 六祖大師法寶壇經


               조선朝鮮

 

 

 

             육조대사법보단경은 행동적이고 즉각적인 깨달음을 주장하는 남종선南宗禪의 시조인 혜능慧能의 수도하는

             과정과 문인들을 위해 설법한 내용을 담고 있는 자서전적 일대기이다.

 

 

 

 

 

 

                       청동수반  靑銅水盤


                  두암 김용두 기증 斗庵 金龍斗 寄贈  /  고려高麗  14世紀

 

 

 

          이 청동수반(靑銅水盤)은 일주(一鑄)로 전부(구연부口緣部)의 가장자리가 약간 융기되어 있을 뿐 얕고 밑면이 넓직한

          모습이다. 전부에는 구름 속에서 서로 상대하는듯한 모습의 두 마리 용(龍)이 묘사되어 있는데, 사이사이에 번개문도

          보인다. 수반에 묘사된 용(龍), 관음보살(觀音菩薩) 등 모든 모티프들은 은입사기법(銀入絲技法)으로 표현하였는데 사

          실적인 용(龍)의 비늘, 섬세한  관음보살(觀音菩薩)의 보발(寶髮), 그리고 생동감 있는 파도 등 매우 정치하면서도 역동

          감 있는 분위기를 만들어 내고 있다.

 

 

 

 

 

 

              수레바퀴 모양 토기 車輪飾土器                                          보물 제637호


                 삼국시대三國時代  가야加耶

 

                                                                                                                                    최규진  기증

                             

 

 

 

 

 

                                금 귀걸이 金製耳飾


                                    경상남도慶尙南道  /  삼국시대三國時代

 

 

 

 

 

 

 

 

                               목걸이 頸飾


                               합천 陜川  출토 出土  /  삼국시대三國時代  가야加耶

 

 

 

 

 

 

 

 

                  사람머리모양토기 人頭形土器


                         삼국시대三國時代  /  진주晋州  중천리 中川里 출토 出土 

 

 

                                                                                                                          높이 : 242mm

                                                                                                                          지름 : 228mm

                                                                                                                          중량 : 3.08kg

 

 

 

 

 

 

             금은입사 향완


 

                  청동금은입사향완  靑銅金銀入絲香垸

                                                                                                                                           고려  13세기

                 사찰(寺刹)에서 사용하는 불기(佛器) 가운데 특히 입 부분에 밥작한 전이 달려 있고 나팔형의 다리가

                 붙어 있는 향로(香爐)를 향완(香垸)이라 한다.

 

 

 

 

 

 

                   십장생 무늬 벼루 十長生文日月硯


                          조선朝鮮

 

                                                                                                                                            양정렬  기탁

 

 

 

 

 

 

                    상감 모란무늬 납작 병象嵌牡丹文扁甁


                            조선朝鮮  15세기                                                                          경남 진주 출토 慶南 晋州  出土

 

                              분청사기

 

 

                    상감 버드나무무늬 뿔잔 象嵌柳文角杯


 

                            조선朝鮮  15세기                                                                          경남 진주 출토 慶南 晋州  出土

 

 

                        분청사기

 

 

 

 

 

 

 

 

 

 

               반가사유상 金銅 半跏思惟像


                     삼국시대三國時代   7세기                                                                          경남 양산 출토

 

 

 

 

                     반가사유상이란 왼쪽 다리를 내리고 오른쪽 다리를 얹은 반가부좌로 오른손은 손가락을 뺨에

                     살짝 대고 생각에 잠겨 있는 미륵보살상을 말한다.

                     석가모니가 태자였을 때 출가하여, 중생구제라는 큰 뜻을 품고 고뇌하는 태자사유상太子思惟

                     像에서 유래 하였다.  인도에서는 3세기 경 간다라 조각에서 나타나며, 우리나라에서는 6세기

                     후반 삼국시대부터 유행하기 시작하여 통일신라 초기까지 많은 반가사유상이 제작 되었다.

 

 

 

 

 

 

             용 봉황무늬 둥근고리칼 龍鳳文環頭大刀


                  합천 陜川  옥전 玉田 출토 出土  /  삼국시대三國時代   가야加耶

 

 

          용 봉황무늬 둥근고리칼 龍鳳文環頭大刀


                  창녕 昌寧 교동 校洞 출토 出土  /  삼국시대三國時代   가야加耶

 

 

 

 

 

 

 

                  태를 담는 항아리 白磁胎壺


                         전傳   경상도慶尙道  /  조선朝鮮

 

 

 

 

 

 

           숭수아기씨 태지석崇壽阿只氏胎誌石


               전傳   경상도慶尙道  /  조선朝鮮

 

 

               皇明嘉靖三年九月二十五日亥時生  (황명가정삼년구월이십오일해시생)

               王男  崇壽阿只氏胎 嘉靖七年三月十三日子時藏  (왕남 숭수아지씨태 가정칠년삼월십삼일자시장)

               1524년(중종 19) 9월 25일 해시 출생한

               왕자 숭수아기씨의 태를 1528년(중종 23) 3월 13일 자시에 묻음

 

 

 

               지역 이름이 있는 분청사기 銘文粉靑沙器


                조선朝鮮

 

 

               조선전기에 관청, 사기장의 이름, 공물의 표시, 생산지의 이름 등이 새겨진 분청사기가 있다.

               그릇에 글씨를 새기는 이유는 궁에서 사용하는 그릇을 효율적으로 관리를 위해 사용 관청의 이름을 표기

               하였고, 또한 그릇질의 책임을 묻기 위해 생산지나 장인의 이름도 표기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조선왕조실

               록朝鮮王朝實錄에 문헌기사가있다. 특히 다른 지역에 비해 경상도는 진주, 삼가, 밀양 등 지역의 이름이

               있는 분청사기가 많이 남아 있다.

                 

 

 

 

 

        「김해장흥집용」이 새겨진 분청사기 접시    「창원장흥고」가 새겨진 분청사기 접시

        「金海長興執用」銘粉靑沙器楪匙               「昌原長興庫」銘粉靑沙器楪匙


              조선朝鮮                                                                      조선朝鮮

 

 

 

 

 

 

 

 

                    「진주장」이 새겨진 분청사기 대접

                    「晋州長」銘粉靑沙器大楪


                              조선朝鮮  

 

 

 

 

 

 

 

                 「삼가인수부」가 새겨진 분청사기 잔

                 「三嘉仁壽府」銘粉靑沙器高是杯


                          조선朝鮮  

 

 

 

 

 

 

 

      「삼가인수부」가 새겨진 분청사기 잔      「합천장흥고」가 새겨진 분청사기 항아리

      「三嘉仁壽府」銘粉靑沙器高是杯            「陜川長興庫」銘粉靑沙器壺


           조선朝鮮                                                                      조선朝鮮

 

 

 

 

 

 

 

 

        「함안장흥고」가 새겨진 분청사기 접시         「밀양장흥고」가 새겨진 분청사기 접시

        「咸安長興庫」銘粉靑沙器楪匙                    「密陽長興庫」銘粉靑沙器楪匙


               조선朝鮮                                                                         조선朝鮮

 

 

 

 

                   지리산의 차

         차茶는 오래전부터 우리나라 귀족들의 고급기호품 혹은 약재藥材로 애용되었다. 〈삼국사기〉에는 신라

             흥덕왕 8년(828)에 대렴大廉이 지리산에서 대규모의 차를 최초로 재배 하였다는 기록이 보이고, 〈삼국

             유사〉에는 가야 수로왕의 비인 허황후가 가져온 차 씨를 지리산에 심었다고 전하는 만큼 지리산은 차나

             무가  자라기에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 오늘날에도 하동과 화개 등 지리산 일대에서는 맛과 향이 빼어

             난 차가 생산되고 있다.

 

 

               삼국사기 三國史記


            김부식金富軾(1075~1151)  /  고려 高麗  /  복제품 複製品

 

          고려의 김부식이 주도하여 1145년(인종 23)에 편찬한 역사서로 신라 * 고구려 * 백제의 흥망과 변천을 기록하였다.

          이 가운데 신라본기에는 차와 관련된 내용이 있다. 신라 흥덕왕 3년(828), 사신 대렴(大廉)이 당나라를 다녀오면서

          차종자를 가져오자 왕이 그것을 지리산에 심게 하였는데 선덕왕(632~646) 때부터 있던 차가 이때에 더욱 성하였다

          고 한다.

 

 

 

 

 

 

                       부풍향차보 扶風鄕茶譜


                    이운해李運海(1710~?)  / 조선 朝鮮  /  복제품 複製品

              초의선사의「동다송東茶頌」보다 앞선 기록으로 1758년 당시 부안현감으로 있던 이운해의 글이다.

              약용차의 제조법과 각종 병리증상에 맞춰 마시는 법, 차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특히 차 도구는 다로

              茶爐, 다관茶罐, 다부茶缶, 다종茶鐘, 다잔茶盞, 다반茶盤 대한 명칭과 그림, 용량까지 상세히 표기하고

              있다. 이 글은 황윤석의 「이재난고頤濟亂藁」에 실려 있다.

                                                                                                                                             황병관 소장

 

 

 

 

 

 

          완당전집 阮堂全集


              김정희金正喜(1786~1856)  /  조선 朝鮮

 

             추사 김정희金正喜의 문집이다. 권10에 쌍계사 승려 만허晩虛의 절묘한 차제조법에 대한 내용과 그 차에

             대한 맛을 평한 글이 있다. “만허스님이 쌍계사의 육조탑六祖塔 아래 있는데 차를 만드는 솜씨가 절묘하여,

             차를 가지고 와 맛을 보이는데 용정의 첫물차도 이보다 못하고, 유마거사 방에도 아마 이런 무상의 묘미는

             없을 것이다. 이에 찻잔과 글씨를 주어, 그로 하여금 육조탑에 차를 공양하게 하였다.”

                                                                                                                                                                               조경옥 소장

 

 

 

 

 

 

                   청자 조롱박 모양 주전자와 받침

                   靑磁瓢形注子承盤 (청자표형주자승반)


                           고려 高麗

 

 

             「쌍계사 봄빛도니 차 인연도 오래라네」           雙溪春色茗緣長(쌍계춘색명연장)

                  열반이라 마설로 여년을 다 보내니                              涅槃魔說送驢年 (열반마설송여년)

                  다만 스님에겐 눈 바른 선이 귀해                                只貴於師眼正禪  (지귀어사안정선)

                  차 일에다 아울러 학의 일을 참하노니                          茶事更兼叅學事  (차사경겸참학사)

                  마시거든 둥그런 저 탑광을 마셔다오                           勸人人喫塔光圓 (권인인끽탑광원)

 

                  청자 조롱박 모양 주전자 옆에는 추사 김정희 선생님의 시가 적혀 있어서 여기에 옮겨본다.

 

 

 

 

 

 

                      청자 구름 학 무늬 찻 그릇

                      靑磁象嵌雲鶴文大楪 (청자상감운학문대접)


                               고려 高麗

 

 

 

 

 

 

 

              청자 꽃모양 잔 靑磁花形盃                            청자찻그릇 靑磁盌


            고려高麗                                                                          고려高麗     

 

 

 

 

 

 

 

 

               백자 주전자  白磁注子


                     조선朝鮮

 

 

 

 

 

 

 

 

                백자 찻그릇 白磁盌                                        백자 높은 다리 잔 白磁高足杯


                      조선朝鮮                                                                                조선朝鮮

 

 

 

 

 

                     이번 포스트는 여기 까지 임미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