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고향 晋州.

국립진주박물관 - 10, 역사 문화실 * 진주시 대평면 대평리 출토유물.

by 五江山 2013. 12. 4.

 

 

                   역사문화실


 

 

         진주를 중심으로 한 경남의 서부지역은 예로부터 땅이 기름지고 각종 물산이 풍부하여 살기 좋은 곳으로 이름나 있다.

        우리 민족의 영산인 지리산이 서쪽에 자리하며 여기에서 발원한 물줄기는 남강이 되어 비옥한 농토를 제공해 준다.

        또한 천혜의 자연환경과 풍부한 어족자원을 가진 남해와 닿아 있어 일찍부터 사람이 살기에 적합하였다.

 

        남강유역의 대평에서는 우리나라 최대의 청동기 취락유적이 발견되었다. 남해의 늑도패총에서는 일본을 비롯한 중국,

        러시아 등의 문화재가 발견되어 2,000여년전에 이미 이들 국가와 교역했던 사실을 알 수 있다. 또한 이 지역은 신비의

        왕국 가야의 옛 땅으로 합천의 옥전 고분을 비롯한 수준 높은 문화유적이 각지에서 발견되고 있다.

 

        한편 지리산은 산신과 성모신앙, 무속 등과 같은 우리나라 토착신앙의 산실로 일찍부터 성스러운 산으로 숭배된 곳이

        었다. 이 곳에 전래된 불교문화는 토착신앙을 품에 안고, 이후 교종과 선종의 교류, 그리고 유교와 도교 등과 서로 융

        합되며 발전하였다. 대표적인 사찰로는 화엄도량인 해인사와 범어사가 있으며, 북종선의 산청 단속사지, 그리고 남종

        선의 쌍계사와 통일신라 말 구산선문 중의 하나인 봉림산문의 봉림사지가 있다.

 

        조선시대에 들어서는 남명 조식 이라는 큰 선비가 있어 이 지역을 유학의 본산 중 한 곳으로 자리 잡게 하였다. 영남사

        림의 싹을 키운 김종직, 정여창, 김일손의 뒤를 이은 남명은 실천을 강조하여 임진왜란 당시 곽재우, 정인홍과 같은 남

        명문인들이 의병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사상의 기틀을 마련 하였다.

 

        조선 후기의 이 지역은 근대사회로 나아가는 항쟁의 장이였다. 봉건사회 해체의 도화선이 되었던 진주농민항쟁과 외

        세의 침략에 맞선 한말의병활동의 중요기지이자 마지막 보루이기도 하였다. 또한 백정의 인권회복을 외치는 형평운동

        이 진주를 중심으로 일어나 근대 변혁의 시기에 중심이 된 곳이기도 하다.

        

         이제 임진왜란실을 지나서 역사문화실로 간다.

 

 

 

 

 

           경상도속찬지리지  慶尙道續撰地理誌


           김겸광金謙光(1419~1490) 등/ 조선朝鮮 / 복제품複製品

 

 

           1469년(예종 1)에 편찬된 경상도 인문지리지이다. 경주, 안동, 상주, 진주 지역의 인문 * 지리 * 경제를 비롯한

           산물 등 29개 항목이 기록되어 있다.

 

 

 

 

                 여지도 輿地圖


              조선朝鮮   1669년

 

             군현별 지도책으로 천하도天下圖, 북쪽 국경 주변의 요계관방지도遼界關防地圖, 조선전도朝鮮全圖 및

             청나라의 여지도 등이 있다. 경상도의 지리적 특성을 보여주는 영남도嶺南圖가 소개되어 있다.

 

 

 

 

 

 

              파한집 破閑集


           이인로李仁老(1152~1220) / 고려 高麗

 

 

          고려 문신 이인로의 시화 * 잡록집으로 내용에 지리산을 유람하고 청학동을 찾는 기록과 시가 있다.

 

 

 

 

 

 

                  지리산전면도 智異山全面圖


                김윤겸金允謙(1711~1775) /  조선朝鮮  / 복제품 複製品

 

               진경산수를 그렸던 조선후기 화가 김윤겸의 작품이다. 지리산 전체를 하늘에서 내려다보듯 독특하게

               묘사하고 밝은 청색으로 변화무쌍한 지리산의 기운을 표현하였다.

 

 

 

 

 

 

 

 

 

 

                동여 東輿


              조선朝鮮  /  복제품 複製品

 

 

              철종연간에 제작된 전국지도로 총 23첩으로 되어있다. 시간, 경도, 거리의 차가 자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경상남도 지역의 내륙은 물론 남해안 연안의 작은 섬들도 상세히 기록하고 있다.

 

 

                     농경문화의 보고 ─ 대평리


                 남강변의 진주 대평리에는 대규모의 마을과 밭, 무덤으로 이루어진 청동기시대 최대의 농경취락유적이

               자리잡고 있다. 이 곳에서는 3,000여년 전부터 집을 짓고 농사를 지으며 사람들이 모여 살기 시작하였

               는데, 2,600년 전 쯤이 되면 오늘날의 도시와 견줄 만한 대규모 취락이 자리하여 주변 지역의 정치 * 경

               제 * 문화의 중심 역활을 하게 된다.

 

               대평리 유적에서는 살림집 400여동과 33,000에 이르는 밭이 조사되었는데, 거주지는 외부의 침입으

               로부터 보호 하기 위해 마을을 둘러싸는 환호壕를 건설하였다. 당시의 사람들은 남강의 범람으로 형

               성된 비옥한 땅에서 조 * 쌀 * 밀 * 보리 * 기장 * 콩 * 들깨 등의 곡식을 재배 * 수확하고, 여러가지 석

               기와 옥 장신구, 토기 등을 대량 생산하여 수준 높은 삶을 영위하였다.

 

 

                경상남도 진주시 대평면 대평리 출토유물

                     慶尙南道 晋州市 大坪面 大坪里 出土


              청동기시대 靑銅器時代

 

 

 

 

 

 

 

                                   대롱모양 옥 管玉

 

 

 

 

 

 

             붉은 간토기 赤色硏土器                                       가지문토기 彩文土器

 

 

 

 

 

 

                                                      조가비 목걸이  貝殼製頸(패각제경식)

 

 

 

 

 

 

                                         옥원석 玉片

 

 

 

 

 

 

                   옥장신구를 만드는 공구 玉加工具


 

                 숫돌 砥石  (위 왼쪽, 길쭉하게 생긴돌과, 위 오른쪽 돌 )    

                  원형숫돌 圓形砥石  (단추처름 생긴돌 4개)

                  원형공구 圓形石器  (중간, 도우넛 모양을 하고 있는돌)

                  구멍뚫는 공구透孔具  (왼쪽아래 뾰족하게 생긴돌 2개)

 

 

 

 

 

 

                               조리용토기 調理用土器                             식기용토기 食器用土

 

 

 

 

 

 

           농사짓는 석기 石器


 

           반달형돌칼 半月形石刀 (왼쪽 위에서 1~3 돌)                            호미 石鋤  (오른쪽 윗부분에 있는돌)

            곡식의 나락을 따는 도구                                                             땅을 파는도구

           돌낫 石鎌 (왼쪽 제일 밑에 있는돌)                                            괭이 石鋤  (오른쪽 아랫부분 길게 생긴 돌)

            곡식을 베는 도구                                                                        땅을 파는도구

 

 

 

 

 

 

                                        의례용 토기 儀禮用土器

 

 

 

 

 

 

       시루 甑 (왼쪽)                                                                          점토띠토기 粘土帶土器

      솥 위에 올려놓고 떡* 쌀 등을 찌는 데 쓰는 둥근그릇.   

 

 

 

 

 

 

                늑도에서 만든토기 勒島生産土器


 

 

                굽달린사발 臺附盌 (왼쪽)                  붉은 간토기 赤色硏土器 (중간)  

 

 

 

 

                     

 

                                       점치는 뼈  卜骨

 

 

 

 

 

 

                                        석제추 石製錘

 

 

 

 

 

 

        옥장신구 象嵌管玉                흑요석과 개오지조개 黑曜石製 * 貝

 

 

 

 

 

 

                         낙랑토기樂浪土器

 

 

                              2,000년 전의 국제항 - 늑도


              남해의 작은 섬, 사천 늑도유적에서는 신석기시대에서 원삼국시대에 이르는 조개무지, 주거지, 건물지, 구덩이,

            무덤 등이 조사되고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다.

 

            출토된 유물은 삼각형 점토대토기를 비롯한 여러 종류의 토기와 반량전半兩錢, 동검銅劍, 삼각형 동촉銅,

            류玉類, 복골卜骨, 골각기骨角器, 철기鐵器, 석기石器 등 다양하다. 이 가운데 야요이식[彌生式] 토기, 낙랑계,

            樂浪系 토기, 외래계 화폐 등은 2,000년 전쯤 바닷길을 이용한 국제교류의 흔적을 알려주는 유물들이다.

            이 유물들이 한반도 남부 지역의 유물과 함께 출토된 것으로 보아 당시 해로를 통한 교역이 활발하게 이루어졌

            음을 짐작할 수 있다.

 

            늑도유적은 출토유물과 지리적인 위치 등을 통해 볼 때 남해안 해상교통로의 중간기착지이자 국제교역이 빈번

            하게 이루어진 항구라고 할 수 있다.

 

 

      경상남도 사천시 늑도 출토유물           야요이토기 ↑ 彌生土器(미생토기)

   慶尙南道 泗川市 勒島 出土遺物


     원삼국시대 原三國時代

 

 

 

 

 

 

        이번 포스트는 여기 까지 하고 다음 포스트 에서는 경남의 옛 절터 에서 출토된 유적들 에 대해서 이야기 하겠심더.

               2013.12. 23.   수정 ... 사진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