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고향 晋州.

국립진주박물관 - 8, 명군 참전의 공과.

by 五江山 2013. 12. 2.

 

 

 

           명군 참전의 공과

 

          임진왜란 이전부터 일본의 대대적인 침입에 대한 소문이 무성하였기 때문에 명나라는 조선이 단기간

          내 일본군에게 일방적인 패배를 당하자, 일본과의 동맹을 의심하여 실태를 조사하기 위한 관리를 파견

          하기도 했다. 명 조정은 조선의 파병요청에 대해 논란 끝에 중국영토 밖에서 외적을 물리친다는 원칙

          아래 원군을 파병하였다.

          조선은 명군의 지원으로 몇 가지 이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평양과 서울 등을 탈환하고 대부분의 국토를 단기간 내 수복할 수 있었다.

          둘째, 조선의 배후에는 명나라가 후원하고 있다는 점을 일본에게 명확히 인식시켰다.

          셋째, 전쟁기간 중의 파농과 기근으로 부족해진 식량을 지원받았다.

          그러나 명군의 지원은 반대로 부정적인 영향도 있었다.

          첫째, 명군의 지휘권 행사로 조선군은 의지대로 독자적인 전투를 벌일 수 없었다.

          둘째, 명군의 일방적 강화협상 추진으로 조선은 자주적 국권을 행사할 수 없었다.

          셋째, 명군의 접대과정에서 국왕의 권위가 심각하게 실추되었다.

          넷째, 전투지역 이외에서 명군의 민간인에 대한 침탈과 횡포가 극심하였다.

          다섯째, 명나라에 대한 사대주의 성향이 한층 강화되었다.

          국토의 대부분을 점령당한 조선이 명의 파병을 이끌어 낸 것은 외교적인 큰 성과였다. 그러나

          자국의 영토 밖에서 외적의 침입을 격퇴하여 피해를 최소화 하려는 명의 입장에서 볼 때 희생을

          감수하면서 조선을 위해 일본군을 완전히 몰아내는 것에 소극적일 수 밖에 없었다.

 

 

               거북선 龜甲船


             조선 朝鮮 

 

              거북선은 판옥선의 상장 갑판을 떼어내고 둥근 판자를 덮고 배 앞부분에 용의 머리를 달았다. 임진왜란 당시에

            활약한 거북선은 3척으로 알려져 있으며, 모두 임진왜란 직전에 건조되었다고 한다. 크기는 판옥선과 비슷하여

            승선인원 125명, 35.3m, 너비 10.6m, 높이 6.6m였다. 개판 위에는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칼 * 송곳을 꽂아 놓

            았고, 용의 입에서는 대포나 유황불을 뿜을 수 있게 했다. 거북선의 전후좌우에는 천 * 지 * 현 * 황의 총통을 장

            착하여 강력한 화력을 발휘 하였다. 특히, 거북선은 판옥선과 달리 노 젖는 격군(格軍)과 전투요원을 모두 개판

            밑에 배치함으로써 적으로부터 보호된 상태에서 전투수행을 할 수 있게 고안되었다. 그 결과 거북선은 적의 함

            대 깊숙한 곳에도 전투를 할 수 있었다.

 

 

 

 

 

 

             사암실기  思庵實記


           조선 朝鮮 

 

             임진왜란 때, 영량사領糧使 겸 총독장總督將으로 참전했던 명군 천만리千萬里의 문집이다. 그는 명나라 군사로서

          조선에 원군으로 왔다가 귀화하였으며 본관은 영양潁陽이다.

 

 

 

 

 

 

                             권응수 표  權應銖 票


                           조선 朝鮮 

 

                                  1598년 2월 울산성전투에서의 공로를 치하여 명의 도독부에서 경상좌도방어사 권응수에게 준

                           일종의 감사장이다.

                                                                                                                                              권경민  소장  

 

 

 

 

 

 

                  정명열 유지  有旨


                   조선 朝鮮   /  복제품複製品

 

                  정명열(丁鳴說)을 평안도 안주에서 중국사신을 접대하는 영위사로 임명하니 전라도에서 필요한 물품들을

                  조치하여 사신접대를 행하라는 유지이다.

 

 

 

 

 

 

                  세전서화첩  世傳書畵帖


               조선 朝鮮   /  복제품複製品 

 

              풍산김씨 미동파의 김중휴(金重休, 1797~1865)가 조상의 행적과 관련된 자료들을 대본으로 하여 모두 19명의

              조상에 얽힌 31가지 이야기를 글과 그림으로 묶어 만들었다. 이중 천조장사전별도(天朝壯士錢別圖)는 임란에

              참전한 명나라 군사가 철군하는 모습이다.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변무주 辨誣奏


                이정구 李廷龜  / 조선 朝鮮

 

                월사 이정구의 문집인 『월사집(月沙集)』에서 1598년 명나라에 전한 글인변무주(辨誣奏)」만 뽑아

                만든 책이다. 병부주사(兵部奏辭)를 맡던 명나라 관리가 조선이 일부러 왜병을 끌어들여 명나라를 침

                범하려 임진왜란을 일으켰다고 황제에게 무고하게 보고한 일이 있었다.변무주」란 이에 대해 ‘전후

                사정을 소상히 해명한 글’ 이라는 뜻이다.

 

 

 

 

 

 

            판옥선 板屋船


          조선 朝鮮

 

          조선 명종 때 개발되어 임진왜란 중에 크게 활약한 전투선으로서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전투함이다.

          판옥선은 개발된 지 37년 만에 닥쳐온 임진왜란 때 해전에서 맹활약을 하였다. 임진왜란의 여러 해

          전에서 압승을 거둘 수 있었던 것은 판옥선이 아주 크고 단단하기 때문인데, 임진왜란 때에 이미

          125명 이상의 군사를 수용하여 그 규모와 강도는 일본 군선에 비할 바가 아니었다. 판옥선은 누각을

          높게 설치하고 갑판 위아래에 각각 노를 젖는 격군(格軍)과 전투를 맡은 군사를 따로 배치하여 서로

          임무를 수행하는 데 편리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적이 배 위에 기어오르지 못하도록 하고, 포를 높

          게 설치하여 유리한 자리에서 적에게 포격을 가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진주성도 병풍  晋州城圖 屛風


                                                조선 朝鮮

 

               내성(內城)과 옹성(甕城 ; 외성)으로 되어 있는 조선시대의 진주성과 시가지 모습을 그린 것이다.

               내성은 현재 정비 * 복원되어 있으나 외성부분은 현재의 진주 시가지로 변했고, 연꽃이 그려져 있는

               해자(垓字)는 매립 또는 복개되어 그 자취를 찾을 수가 없다. 성 안에 현존하는 건물은 촉석루를 비롯

               하여 영남포정사문(嶺南布政司門), 서장대, 북장대, 촉석문 등이 있다. 성 밖에 현존하는 건물로 진주

               향교가 보인다.

 

 

 

 

 

 

 

 

 

 

 

               김시민 선무공신교서 金時敏 宣武功臣敎書                                                    보물  제1476호


             조선 朝鮮   /  복제품複製品 

 

             공신교서는 임금이 국가에 공적을 세운 공신들에게 준 공문서이다. 국립진주박물관 소장의 이 선무공신교서는

             선조 임금이 진주대첩을 지휘한 선무공신 2등의 진주목사 김시민에게 내리는 것이다. 이 공신교서는 2006년 국

             민들의 정성어린 모금에 의해 일제시대 유출된 문화재를 국내로 환수하였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깊다.

                1등 공신에 첫번째로 이순신, 권율, 원균의 이름이 보이고 2등공신에 권응수, 김시민,이정암, 이억기의 이름이

             적혀 있다.

 

                      진주성과 임진왜란

 

             1592년 8월에 이르자 조선 수군과 의병의 활약으로 일본군은 배후의 위협을 느끼게 되었다. 이에 일본군은 진

             를 점령하여 저항운동의 본거지를 소탕하고 전라도 공격을 위한 거점으로 삼고자 했다. 1592년 8월 서울을 출발

             한 일본군 2만 명은 김해를 거쳐 9월 말 진주성을 포위하였다. 진주목사 김시민은 일본군이 몰려오자 3천 8백여

             명의 병력과 진주성 내의 백성을 규합하여 결전태세를 갖추었고, 성밖에서는 경상도와 전라도의 의병이 합세하

             여 일본군을 견제하였다. 일본군은 엿새 동안 공격 하였으나 결사적인 대항에 공략을 포기하고 10월 10일 퇴각

             함으로써 조선은 진주성 어에 성공하였다. 제1차진주성전투는 임진왜란 삼대첩의 하나로 일본군이 호남으로

             진출하려던 계획을 좌절시킨 전략적으로도 매우 중요한 승리였다.

             이 패배를 설욕하고 강화교섭에서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기 위해 9만의 일본군이 1593년 6월 19일 다시 한 번

             진주성을 공격하였다. 이때 진주성 안에는 김천일을 비롯한 최경회 * 황진 * 고종후 등의 지휘부와 3천 5백여

             명의 병사, 6~7만 명의 백성이 있었지만 철저히 무장된 일본군과 싸워 진주성을 지키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완전히 고립된 채 연일 계속되는 공세를 잘 막았으나 열흘째인 29일 일본군은 무너진 성벽으로 난입하였다.

             이때 진주성 내 함께 있었던 모든 사람들은 맨손으로 끝까지 항전하다가 김천일 * 최경회 등의 지휘부를 필두로

             7만여 명이 순절하였다. 진주는 전략적으로 중요하였을 뿐만 아니라 전쟁 공방의 상징과도 같은 곳이어서 결국

             임진왜란 최대의 격전지가 되었던 것이다.

 

             

 

    

 

 

       임진왜란실에 전시되어 있는 진주성 모형. 그 뒤로 대형 LCD TV 에서는 건물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 하고 있다.

 

 

 

 

 

 

 

 

 

 

 

 

                  진주성의 주요위치

 

             1. 촉석루.  2.공북문.  3. 북장대(진남루).  4. 서장대.  5. 동장대.  6. 신북문.

               7. 구북문.  8. 경상우도병마절도사영.  9. 호국사.  10. 대사지.  11. 해자.  12. 감옥.

 

                 진주성의 역사

 

                  680년      신라 9주5소경 가운데 강주康州가 됨

                      995년      진주晉州라는 이름을 처음 씀

                 1379년    토성 터에 석성 축성. 축성 중 왜구가 파괴

                 1593년    임진왜란 제2차 진주성전투에서 함락되어 파괴

                 1603년     경상우병영이 됨. 진주성 수축 및 내성 축성

                 1906년      동장대의 일부 자연붕괴

                                  일제강점기 외성을 파괴하여 대사지를 메우고 신시가지 조성

                 1950년       6.25전란으로 촉석루 소실

                 1979년       진주성 복원 * 정비사업 실시(~1984)

 

                 사적118호. 내성은 현재 정비 되었으나 외성 부분은 진주 시가지로 변했고,

                 대사지는 일제에 의해 매립 또는 복개되어 그 자취를 찾을 수가 없다.

                《여지도서》〈경상도 우병영〉조에는 ‘촉석성’ 이라고 기록되어 있다.

                 내성은 둘레가  1,930척(약 602m),  높이는  25척(약  7.8m)이며, 외성은

                 둘레가  10.330척 (약 3,225m),  높이는   25척 (약 7.8m)이다.  성 안에

                 우물과 샘이 각각 셋이 있고 군수품 창고가 있다.

 

                                    

 

 

        임진왜란실 끝부분.

 

 

 

 

 

             임진왜란실에 전시되어 있는 서책과 서화들...

 

 

 

 

 

                   매창집  梅窓集


                         조선 朝鮮

 

 

                조완벽전은 정사신鄭士信의 문집인  『매창집』에 실려 있다. 조완벽은 진주 출신으로 정유재란 당시

                붙잡혀 일본에서 노예생활을 하다가 동남아시아 지역까지 다니며 무역을 하여 큰 부자가 되었다.

                10년 만에 돌아와 가족과 상봉하고 안락한 만년을 보냈다고 한다.

 

 

 

 

 

                                     도요토미 임종시  豊臣秀吉  臨終詩


                                 일본 日本 1598  /   복제품複製品 

 

 

 

                                 도요토미 히데요시는  1598년 8월 후시미伏見성에서 사망했다. 죽기 전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며 지은 시로  ‘松’ 은 그의 아호雅號이다.

 

                                     つゆとをち  つゆときへに  ゎかみかな  

                                                 なにゎの事も  ゆめの又ゆめ     松

 

                                  이슬과 함께 내리고 이슬과 함께 사라지는 내 몸인가

                                  오사카의 일도 꿈속의 또 꿈이런가    松

 

                                                    일본  오사카성천수각  日本 大阪城天守閣   소장

 

 

 

 

 

 

                      상촌유고 象村遺稿


                            조선 朝鮮   1621

 

 

                신흠申欽(1566~1628)의 문집으로 1621년에 신흠 자신이 쓴 서문이 붙어있는 핈6ㅏ본이다.

                임진왜란 당시의 인물 * 사례 등이 풍부하게 기록되어 있다. 조선 중기 4대 문장가의 한 사람인 

                 신흠이 쓴 시, 주문, 비문 등을 연대순에 따라 전집前集, 후집後集, 속집續集, 별집別集, 내외집

                 內外集, 여집餘集 등으로 구분하였다.   

 

 

 

 

 

 

                                  코 영수증  垣見和泉守等三名連署狀


                                  일본 日本 1597  /   복제품複製品

 

 

 

                          1597년 10월 1일 발행되었다. 나베시마 가츠시게[鍋島信濃守] 군이 전라도 금구, 김제

                          지방에 절취한 조선인의 코 3,369개를 바치고 받은 수취장이다. 도요토미의 측근인 군봉

                          행 3인이 코를 받았음을 증명하는 수취장(영수증)을 써주고 코는 술통에 넣어 일본으로

                         보내 도요토미가 실제 검사하도록 하였다.

 

                                                                   일본  오사카성천수각  日本 大阪城天守閣   소장

 

 

 

 

 

 

                   재조번방지  再造藩邦志


                        조선 朝鮮   17세기

 

 

 

               신경(申炅)이 1577년(선조 10)부터 1607년까지의 임진왜란 전후 30년 동안에 걸쳐 조선과 명나라의

               관계와 조선이 명나라의 후원으로 재조(再造) * 재건된 사실을 적은 책이다.

               서문은 없고, 앞에 인용한 서목 32종이 적혀 있으며, 이어 적당한 분량으로 분권되어 있다. 저자의 저

               술태도는 자신의 견해를 근거 없이 첨부하지 않고 다른 기록들을 모아 정리한 것이며, 내용은 임진왜

               란을 전후한 때의 조선과 명나라의 관계를 비교적 자세히 다루고 있다.

 

 

 

 

 

 

                                    사명대사 글씨 泗溟大師  親筆


                                 조선 朝鮮   /  복제품複製品 

 

 

 

                           사명대사의 친필이다. 사명대사는 임진왜란시 의승병을 이끌고 활약하였으며 전쟁이 끝나고

                           일본으로 잡혀간 조선인 포로들을 쇄환하는 데 큰 역활을 하였다.

                                                                                                                            고려대학교박물관 소장

 

 

 

 

 

 

                      해동삼강록  海三綱


                     조선 朝鮮   1805년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충 * 효 * 열로 이름난 인물의 행적과 전설을 수록한 책이다.

                    권2는 신립 * 김시민 * 이순신 * 원균 * 이계종 * 김천림 * 김려기 * 김상용 * 홍익환 등 임

                    진왜란, 이괄의 난, 정묘 * 병자호란 때 순절한 충신 336인이 수록되었다.

 

 

 

 

 

                    두부제조그림 豆腐製造圖


                일본 日本  /   복제품複製品

 

 

 

                일본의 전통 두부를 만드는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서 이러한 형태의 두부 제조법은 임진왜란 때 조선으로부터

                일본에 전해진 것이다. 이 그림은『土佐國職人繪歌合』이라는 화첩 중에 들어 있다.

                두부는 원래 중국 한나라 때에 발명되었다고 전해진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말에 중국과 교류가 가장 빈번하였

                던 원나라로부터 전래된 것으로 여겨지는데, 임진왜란 때 이 기술이 일본으로 전해졌다고 한다.

 

                                                                                                                                일본 高知市立,市民圖書館  소장

 

 

 

 

 

 

            조선물어  朝鮮物語


              일본 日本 1849년  /   복제품複製品

 

 

 

              정유재란에 참전한 오카와우치 히데모토[大河內秀元]의 종군일지를 모은 것으로, 다른 이름은 진중일기

              陳中日記이다. 1597년 小早川秀詮의 조선 정벌대장군 임명에서 시작해 전말에 이르러 도요토미의 죽음과

             1599년 도요쿠니신사[豊國神社]를 건립하는데서 끝나고 있다. 울산성 전투와 남원성 전투등 조선각지의

             전황이 일기의 형식으로 기록되어있다.

                                                                                                                                 한국학중앙연구회  소장

 

 

 

 

 

 

                     형제급난도 兄弟急難圖


               조선 朝鮮   /  복제품複製品  

 

                 임진왜란 때 백화산白華山 싸움터에서 이전李㙉이 갖은 위험과 고난을 겪어가며 병으로 사경에 이른 동생

                 준埈을 업고 싸움터를 빠져나와 함께 생명을 구한 형제간의 우애를 그린 그림이다. 피신 중에 적과 마주치

                 게 되었는데 적이 이 형제를 보고서 칼을 빼어 죽이려고 하였으나, 곧 그들의 사정을 알고는 우애에 감동하

                 여 살려주었다고 한다.  이준(1560~1635)이 찬하였으며 책의 뒷부분에 이 사실을 입증해 주는 여러 명사

                 들의 찬양하는 글이 실려 있다.               

                                                                                                                                             유홍준 기증         

 

 

 

 

 

                  동국신속삼강행실도 東國新續三綱行實圖


                  조선 朝鮮   /  복제품複製品 

 

 

                 1617년(광해군 9) 왕명에 의하여 홍문관부제학 이성李惺 등이 편찬한 책으로, 18권 18책으로 이루어진

                목판본이다. 임진왜란 이후에 정표旌表를 받은 충신 * 효자 * 열녀  등을 중심으로 하여 상 * 중 * 하 3편

                으로 편찬 하였으며, 임진왜란 발발 이래의 효자*충신*열녀 등의 사실을 수록, 반포하여 민심을 격려하는

                취지를 가지고 있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선씨상서 宣氏上書


                                   조선 朝鮮  

 

                                  보성군에 사는 유학 선기방宣基邦 * 선기감宣基鑑 * 선시각宣時恪 등이 전라도

                                  순찰사에게 올린 상서문이다. 자신의 선조 가운데 임진왜란 때 순절하여 선무원

                                  종공신 1등에 책봉된 선여경宣餘慶과 그 아들 해수海壽 * 인수麟壽  * 종제從弟

                                  청원靑元 * 필백弼伯 * 경백敬伯 등은 선조를 의주까지 호종 하였으며, 왜장의

                                  무기를 탈취하고 베어 죽이거나 사로잡은 공이 있으므로 일가의 6공신에 대하여

                                  포상하여 줄 것을 청원하는 문서이다.

 

 

 

 

 

 

                군산이우도 群山二友圖


             조선 朝鮮   /  복제품複製品 

 

 

             조영趙嶸은 대학자인 율곡 이이의 생질로서 임진왜란 때 군산도로 피난 하였다. 이 작품은 그와 김주金輳가

 

             군산도에서 서로 만나 그 우정을 기리기 위하여, 1593년 봄에 조영이 그림을 그리고 김주가 서문을 써서 완

             성한 것이다. 당시 조영은 22세, 김주는 30세였다. 피난 중이라는 당시의 위급한 상황에서도 고아한 품격과

             선비의 기풍을 유지하고자 했던 노력이 담겨 있다.

                                                                                                                                 건국대학교박물관 소장

 

 

 

            이번 포스트는 여기까지만 올리고 다음 포스트 에서는 일제강점기와 임진왜란 에 대해서 이야기 하겠심더...

 

                   2013. 12. 19  수정 ...  사진 & 글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