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고향 晋州.

국립진주박물관 - 7, 임진왜란 의병.

by 五江山 2013. 12. 1.

 

 

 

                임진왜란 의병

 

             임진왜란이 일어나 정규군이 붕괴되자 백성 스스로 자기 고장을 지키고 외적을 물리쳐 나라를 구해야 한다는

             사명감으로 뭉쳐 일어났던 것이 의병이다.

             의병은 대개 그 지방의 유력자를 중심으로 양반에서 천민에 이르기까지 적게는 몇 십 명에서 많게는 몇 천 명

             까지 적극 호응하였다. 이들은 개인의 재산을 사용하여 물자를 조달했으며, 부대마다 지켜야 할 군율을 정하고

             일본군을 무찌를 것을 맹세했다. 또한 대장 아래 군사의 훈련, 물자의 조달, 전략 수립 등을 담당한 참모들을

             두기도 하였다. 임진왜란 초기, 전국에 걸쳐 일어났던 의병은 일본군을 기습하는 게릴라 전법을 구사하여 그들

             의 진격을 막고, 민심을 안정시키는데 큰 역할을 하였다. 이들 의병활동의 원천은 무기나 병력 등의 물리적 조

             건이 아니라 충성과 의리를 바탕으로 하는 결사 항쟁의 정신에 있었다.

 

 

           고경명 글씨  高敬命 遺墨


            조선 朝鮮  /  복제품 複製品

 

 

            고경명이 쓴 글로 세독충정 (世篤忠貞)이란, ‘세세토록 독실히 충성을 다 한다’ 라는 뜻으로 나라에 대한

            지극한 마음을 나타내고 있다. 당시 각지에 의병을 모집하기 위하여 각 고을에 보내진 충정 어린 내용과

            국가의 위급함을 들어 의병을 모집하였던 마상격문(馬上檄文)과 함께 현재 포충사에 전해져 온다.

                                                                                                                                     광주 포충사 소장

 

 

 

 

 

 

           호남절의록  湖南節義錄


            고정헌高憲  /  조선 朝鮮  /  1799

 

 

            임진왜란(1592), 이괄의 난(1624), 정묘호란(1627), 병자호란(1636), 이인좌의 난(1728)이 일어났을 때

            활약한 호남지방 의병들의 행적을 기록한 책이다. 1799년에 의병장 고경명 (高敬命, 1533~1592)의 7대

            손 고정헌이 편집하여 간행 하였다.

 

 

 

 

 

 

                   호남창의동사록  湖南倡義同事


                 조선 朝鮮 

 

 

                호남 지방에서 봉기하여 생사를 같이 할 것을 결의한 의병들의 명단과 행적을 간략하게 엮은 책이다. 

 

 

 

 

 

 

                                           사명대사 영정  泗溟大師  影幀


                                    조선 朝鮮  /  복제품 複製品

 

                                    선조 때의 고승으로, 속성은 임(任), 호는 송운(松雲) 또는 사명(泗溟)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승군을 모집하여 서산대사의 휘하에서 활약하였다.

                                    서산대사가 물러난 뒤에는 승군을 통솔하였다. 정유재란 때에는 울산과 순천

                                    등지에서 공을 세웠다. 선조 37년(1604)에는 국서를 받들고 일본에 가서, 포

                                    로가 되었던 3,500여 명의 조선인을 데리고 돌아왔다.

                                                                                                             원광대학교박물관  소장

 

 

 

 

 

 

                         포로송환문서  捕虜送還文書


                    조선 朝鮮

 

                    임진왜란 전후 사명대사가 일본으로 건너가 조선인 전쟁 포로를 송환한 사실을 증명하는 자료이다.

 

                                                                                                                                     밀양  표충사  소장

 

 

 

 

 

 

                흥국사 심검당 상량문 興國寺 尋劒堂 重建上


              조선 朝鮮  1633  /  복제품 複製品

 

 

              임진왜란 때 흥국사를 중심으로 일어난 승군은 전라좌수영 관할 아래 있으면서, 지역 경계 근무, 조선(造船),

              전함 수리, 군사 작전 수행, 제지(製紙), 위령제를 맡았다. 그 이후로는 흥국사에는 계속 의승군이 주둔하였는

              데, 이들의 편성 및 운영활동상황을 알려주는 문건은 1633년에 작성된 이 문서 이외에도 서너 건이 더 있다.

              의승군의 규모는 많을 때는 700여 명에 달하며 대체로 300여 명 정도였다.

                                                                                                                                           여수 흥국사  소장

 

 

 

 

 

 

 

                   김천일  유묵  金千鎰  遺墨


              조선 朝鮮  1560  /  복제품 複製品

 

               조선 중기의 문신이며 의병장으로 본관은 언양, 호는 건재(健齋)이다. 이항(李恒)의 문인으로 1573년(선조 6)

               학행(學行)으로 발탁되었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적의 대군이 북상하여 서울이 함락되고 선조가 몽진

               하였다는 소식을 듣고고경명(高敬命), 최경회(崔慶會) 등에게 글을 보내어 창의기병(倡義起兵)할 것을 제의

               였다. 저서로는 『송천집松川集 『건재집健齋集이 있다.

                                                                                                                                     동아대학교박물관  소장

 

 

 

 

 

 

 

 

                박진영  유품  朴震英  遺品


                조선 朝鮮  /  1569~1641

 

             함안의 선비로서 임진왜란 때 군수 유숭인(柳崇仁)과 함께 군사를 일으켰다. 의병장 곽재우(郭再祐), 초유사

             김성일(金誠一)등과 함께 활약하였으며 7년 전쟁동안 많은 공을 세웠을 뿐 아니라 ‘이괄의 난’에서도 공을 세

             웠다. 만년에는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이르렀으며 1871년(고종 8)에 ‘무숙(武肅)’이라는 시호가 하사되었다.

 

                                                                                                                       밀양박씨 영동정공파 종중 기증

 

 

 

 

 

 

                       박진영 호패                                                             갓끈 纓子


                                                                                                         갓을 매는 장식용 끈

 

 

 

 

                       박진영  호패  號牌


                   조선 朝鮮  /  복제품 複製品

 

                   ‘己巳生  甲午武科’  기사년(1569)  생이며 갑오년(1594)에 무과에 합격하였음을 명기함.

 

 

 

 

 

            옥로 玉鷺                                                                   관자  貫子


              갓 위에 다는 장식                                                                  망건에 달아 줄을 꿰는 고리

 

 

 

 

 

 

 

 

 

 

 

 

 

                                               흉배 胸背


                       무관의 가슴과 등에 붙이는 것으로서 호랑이 문양이다.

 

 

 

 

 

                   임진왜란에서 수군 승리의 중요성

 

                   임진왜란에서 수군의 승리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첫째, 수군의 승리는 시간적, 공간적인 전략상 가치가 있다. 한산대첩과 명량대첩은 일본군 물자의

                   현지 조달을 위한 전라도 점령, 바닷길을 통한 육군의 군수물자 보급, 중국으로 직항하기 위한 거점

                   확보 등의 전략을 저지 시켰다.

                   둘째, 해전에서 연전연승은 일본군의 주력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해전에서의 연패로 육상

                   으로 북상하던 일본수군은 조선수군을 견제하기 위하여 후방으로 이동해야 했다.

                   셋째, 장기적 대치 속에서 제해권의 완벽한 장악으로 일본군의 준동을 견제하였다. 강화회담 시기 조

                   선수군은 군량확보, 무기와 전선의 건조, 지속적인 수군 병력의 충원을 통해 일본군의 침입을 방비하

                   는 한편 반격을 노렸다. 이러한 의도는 일본군을 위축시키기에 충분했다.

 

 

                박물관 2층의 임진왜란실의 대형 LCD TV 3대 에서는 만화로 한산대첩의 치열한장면을 만화로 보여 주길래 

             4컷 정도 촬영해서 이어 붙였다. 

 

 

 

 

 

                                  조라포남봉관해도 助羅浦南峰觀海圖


                                         조선 朝鮮  1586~1587년

 

                                         관원들의 모임을 그린 그림으로 장소는 조라포(현재 경남 거제시 일운면

                                         구조라리)에 위치한 조선시대 수군의 기지 부근에 있는 남봉南峰이다. 화

                                         면 맨 위에는 예서체로   ‘조라포남봉관해지도 助羅浦南峰觀海之圖  라고

                                         적었고, 하단에는 이날 모임에 참석한 관리들의 인적사항이 적혀있다. 임

                                         진왜란이 일어나기 몇 해 전 남해안 수군의 기지상황과,  임진왜란 때 활

                                         동한 인물들의 이력을 알려주는 기록화이다.

 

                                          (이그림은 너무나도 어두운곳에 배치되어 있었다. 박물관에서 삼각대도

                                          못쓰기 때문에 사진이 수정을 해도 흐리다. 내년 봄쯤에 박물관에 사람

                                          이 많이 오면 다시가서 촬영을 햐ㅐ야겠다...)

 

 

 

 

 

                                       당포전양승첩도  唐浦前洋勝捷圖


                                   조선 朝鮮

 

                             1604년 6월에 있었던 당포 전투에 참여한 28명의 지휘관들이 모여 전승을 기념하기 위해

                             제작한 계회도로 남도포만호 노홍魯鴻의 후손에게 전해 온 것이다.캄보디아에서 귀환하던

                             일본 무역선이 당포(唐浦 : 현재 경남 통영시 산양면 삼덕항)에 표류하였다. 이에 삼도수군

                             통제사 이경준은 우후인 신여량을 지휘관으로 삼아 수군을 출동시켜 격파하고 일본인, 중

                             국인, 포르투갈인 등 31명을 포로로 잡아 중국으로 압송하였다. 임진왜란 직후 조선수군의

                             편제 상황이나 선박의 모습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다.

                                                                                                                                         노덕상  소장

 

 

 

 

 

                          

 

                                                    이충무공전서  李忠武公全書


                                         조선 朝鮮  1795  /  복제품 複製品

 

                                       정조의 명으로 이순신이 남긴 글을 집대성한 전집이다. 특히 거북선龜船의

                                       그림은 그 재원과 모형을 알려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각선도본   各船圖本


            조선 朝鮮  /  복제품 複製品

 

            전선戰船 * 전선철상장戰船撤上粧 * 조선漕船 * 북조선北漕船등 여섯 장의 채색화로 되어 있다.

            돛대 * 닻 * 노 * 키 등 판옥선의 구조를 상세하게 보여주는 등 조선 후기의 배를 사실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용이나 귀신의 그림도 선명하게 그려져 있다.

                                                                                                                                                 규장각  소장

 

 

 

 

 

 

             통영도  統營圖


             조선 朝鮮

 

             정유재란 이후, 전라도의 고금도에 있던 삼도수군통제영은 지나치게 서쪽에 치우쳐 있어 해안 방위에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 많았다. 이에 1604년 경상도의 한적한 어촌이었던 두룡포豆龍浦 강구항江口港으로 삼도수군 통

             제영을 옮겨 지명조차  ‘통영’  으로 굳어지게 되었다. 이 지도에는 강구항을 중심으로 현존하는 세병관, 충열사

             를 비롯한 통제영의 여러 관청 건물, 항구의 모습이 상세히 묘사되어 있다.

 

 

 

 

 

 

                  이순신의병차정첩자 李舜臣義兵差定帖子


              조선 朝鮮 1597  /  복제품 複製品

 

              정유재란 때 흥양(현재의 전남 고흥)에서 의병을 일으킨 신군안申君安이 수군통제사 이순신으로부터 의병장

              선정의 증서를 받은 것이다. 신군안은 그 뒤로 연해지역 7읍을 중심으로 의병활동을 계속하여 많은 전과를 올

              린 뒤 1598년 진중에서 전사하였다. 임진왜란 때 수군전력 증강에 연해지역의 의병운동이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해 준 자료이다.

                                                                                                                                                     신재호  소장

 

 

 

 

 

 

 

 

 

 

 

                         임란첩보서목  壬亂捷報書目                                                     보물 제660호


                    최희량 崔希亮  /  조선 朝鮮 1598

 

                    1598년 정유재란 때 흥양현감인 최희량 (崔希亮)이  삼도수군통제사와 전라감사에게 올린 보고서이다.

                   1598년 3월부터 7월 사이에 흥양(興陽 : 전남 고흥 소재)  관내의 첨산(尖山) * 고도(姑島)  등에 침입한

                   왜군을 격파한 일과 삼도수군통제영에 제조한 전선과 무기, 군량 등을 보내는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이 보고에 대해 삼도수군통제사인 이순신이 친필로 보고를 받았다는 제김[題音]과 수결이 있다.

                                                                                                                                                 최경수  소장

 

 

 

 

 

 

                          수군징집명령서  水軍徵集命令書


                              조선 朝鮮  /  복제품 複製品

 

                              무자戊子년 4월, 수군영의 박춘성朴春成을 통인通引의 역활을 맡기는 문서이다.

                                                                                                                                                      임기봉  소장

                              ▶ 통인通引   관아에 속하여 잔심부름하던 하급관리

 

 

 

 

 

 

 

 

 

 

 

 

 

 

 

 

 

 

 

 

 

 

 

 

 

 

 

 

 

 

                           평양성탈환도 平壤城奪還圖


                                     조선 朝鮮

 

                  1592년 6월 14일 북상한 일본군에게 평양성을 빼앗겼다. 이를 조 * 명 연합군이 7월 15일 공략 하였으나

                 실패하고 이듬해인 1593년 1월 2일부터 다시 공격하여 6일 탈환 하였다. 이 병풍은 평양성 탈환에 성공한

                 2차 전투를 그린 민화풍의 그림이다. 조선 후기 사대사상에 의거하여 명군의 활약상을 담고 있다.

 

 

 

 

 

 

 

 

 

 

 

 

                   임진명장첩 壬辰明將帖


               조선 朝鮮

 

               임진왜란 때 원군으로 참전했던 이여송과 여러 장수, 참모 등의 글씨를 엮은 서첩이다. 이민서(李敏敍),

               김만기(金萬基)의 발문이 있다.

 

 

 

                이번 포스트는 여기까지 하고 다음 포스트 에서는 거북선을 소개하기로 하겠심미더.

                    2013.12.11  수정 - 사진과 글 추가.

                     2013.12.13  수정 - 사진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