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고향 晋州.

국립진주 박물관 - 6, 임진왜란 * 일본군의 전략과 점령정책.

by 五江山 2013. 12. 1.

 

 

 

             일본군의 전략과 점령정책.

 

         임진왜란을 일으킨 일본의 초기 전략은 단기간에 조선 전역을 장악하고 이곳으로부터 군수물자를 공급받아 명나라로

         진격하는 것이었다. 또한 이들은 조선의 통치체제도 자신들과 같이 봉건체제여서 전국팔도가 각각 다른 나라로 이루

         어진 것으로 생각하곻 그 통치자만 항복하면 통치하는 영역은 자신들의 판도가 될 것으로 생각하였다.

         일본군은 빠르게 북상하여 20일 만에 서울을 점령했음에도 불구하고 국왕의 피난으로 항복을 받지 못하였다. 이에 일

         본군 장수들은  1592년 5월 초 서울에 모여 조선 각 도를 분담하여 점령하고 군수물자를 조달하기로 했다. 아울러 도

         요토미 히데요시의 조선 입국에 대비하여 부산에서 서울에 이르는 도로의 정비와 숙소 건설을 계획했다. 그러나 1592

         년 7월을 기점으로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나고 관군들이 정비되면서 전략에 차질이 생겼다. 특히 조선수군의 연전연승

         으로 일본군은 서해안을 통한 물자의 수급이나 지원을 할 수 없었고, 명군의 참전으로 더 이상 북진할 수 없었다.

         결국 일본은 초기전략을 수정하여 중국으로의 진격을 포기하고 조선 일부만이라도 점령하기 위해 강화협상을 벌였다.

         한편 일본군은 점령지에서 자신들에게 협력하는 자들을 관리로 임명하고 공고문을 내걸어 자신들에게 협력하고 원래

         거주지로 돌아올 것을 권유했다. 그러나 시일이 지날수록 저항이 심해지자 정유재란 때는 회유책을 포기하고  반항하

         는 이는 철저히 응징하는 것으로 정책을 전환하였다.

 

    

                  회본 태합기 繪本 太閤記


             일본 日本   18세기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일대기를 글과 그림으로 엮은 책으로 임진왜란의 주요 장면이 그림과 글로 쓰여 있다.

               태합(太閤)이란 도요토미의 벼슬이름이다.

 

 

              〈그림설명〉

 

                       조선의 두 왕자(임해군 * 순화군)를 사로잡다.

 

 

 

 

 

                                조선인의 귀를 베어다가 귀무덤(耳塚)을 조성하였다.

 

 

 

 

 

                울산성에 있던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의 군사들이 조 * 명연합군에 포위되어 참혹한 지경에 이르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초상화  豊臣秀吉  肖像


                               일본 日本   1600 / 복제품

 

 

                               일본에는 도요토미의 초상화가 많이 전해진다. 도요토미 사후 2년째인 경장 5년(1600)에

                               그려진 화상이다. 인물 위쪽으로는 경장 5년6월에 동복사(東福寺)의  소오코  이쿄오 [草

                               湖惟杏]가   ‘모든 장수가 추앙하는 것이 태산과 같다’ 라는 찬문을 적어 놓았다.

 

                                                                                 일본 오사카 천수각박물관 日本 大阪城天守閣  소장

 

 

 

 

 

 

 

 

 

 

 

 

 

 

 

 

 

       명황책봉문  明皇贈豊太閣日本國王冊封文


      명 明  1593  /  복제품 複製品

 

 

     임진왜란이 일어난 이듬해인 1593년 4월,  일본군이 한성에서 철수하면서 명과 일본 사이의 강화교섭이 본격화되었다.

     교섭을 맡았던 심유경沈惟敬은 일본 측이 제시한 강화 조건을 명에 전달하지 않은 채, 명 황제로부터 책봉문을 받아 8월

     에 일본으로 건너가 도요토미에게 바쳤다. 도요토미는  “그대를 봉하여 일본 국왕으로 삼는다”라는 교섭의 기만성에 격

     노하였다. 후일 이 사건은 정유재란의 발발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일본  오사카시립박물관   日本 大阪市立博物館  소장

 

 

 

 

 

 

 

                 주인장  朱印狀


              조선 朝鮮  1592  /  복제품 複製品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나베시마 나오시게  [鍋島直茂]  에게 준 명령서이다. 여기에는 명나라로 가는 도로와

             자신이 머무를 거처를 마련하라는 명령으로 1592년 6월 3일에 작성되었다.

 

                                                                                               일본 오사카성천수각 [日本 大阪城天守閣]  소장

 

 

 

 

 

 

 

        정유재란  개전명령서 朱印狀


        일본 日本   1597  /  복제품 複製品

 

 

       일본의 조선 출병 장군들에게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내린 출병명령서 군령장(軍令狀)이다.  내용 가운데 이일 교대로

        참전하고 또 명군이 출병하면 도요토미 히데요시 자신도 조선에 건너가 토벌한다는 결의가 있다.

        1597년 2월 21일 에 작성 되었다.

                                                                                                     일본 오사카성천수각 日本 大阪城天守閣  소장

 

 

 

 

 

 

                                          정유재란 침략군대 분담문서 朱印狀


                                    일본 日本   1597  /  복제품 複製品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내린 출병명령서로 각 부대의 동원할 군사의 규모를 명시하고

                             있다. 정유재란 개전명령서와 함께 내린 것으로 1597년 2월 21일 에 작성 되었다.

 

                                                                              일본 오사카성천수각  日本 大阪城天守閣  소장

 

 

 

 

 

                                        권응수 영정 權應銖  影幀                                    보물  제668호


                               조선 朝鮮  /  복제품 複製品

 

 

                               임진왜란 후 1604년(선조  37)에 권응수가 선무공신 宣武功臣에 책록되었을때 공

                               신도감功臣都監에서 그려 하사한 영정이다. 두 손을 모으고 의자에 앉은 전신교의

                               좌상全身交倚坐像이며, 족좌대足座臺를 갖추고 있다. 흉배에 무신武臣을 상징하는

                               호랑이 모양이 그려져 있다.

                                                                                                                                권경민  기탁

 

 

 

 

 

 

         권응수  각대  權應銖  角帶


        조선 朝鮮  16~17세기                                                                                                         보물  제668호 

 

                                                                                              

       권응수權應銖의 유품이다.  그가 관리로서 생전에 쓰던 물건,  임금에게서 받은 하사품이며,  집안에서 전해 오는

         것들 가운데 하나이다.          

                                                                                                                                                    권장하  소장  

 

 

 

 

 

 

          권응수 유품 벼루 龍硯


          조선 朝鮮 

 

 

 

 

 

 

 

           영양창의록  永陽倡義錄


         조선 朝鮮   1822

 

 

         경상북도 영천 지방에서 일어난 네 차례의 의거에 대한 공격을 기록한 책으로서 내용은 <임진록> <정묘록>

         <병자록>  <무신록>  등의 제목을 달아 서술하였다.  임진왜란 때 정세아의 의거, 정묘호란 때 손해의 의거,

         병자호란 때 정호인의 의거, 1728년(영조 4)  이인좌의 무신란 때 정규양의 의거 등에 관한 공적을 적었다.

         영천성은 임진왜란 때 권응수의 활약으로 탈환한 곳이기도 하다.

 

 

 

 

 

 

 

 

 

 

 

 

 

                                              창의토왜도 倡義討倭圖


 

                         1592년 일본군이 함경도에 쳐들어 왔을 때 의병을 일으켰던 정문부(鄭文孚,  1565~1624)

                             의 활약상을 그린 것이다.  정문부의  ‘북관대첩’을 그린 것으로 『북관유적도첩』에 실려

                             다.  당시 국경인 * 국세필 등이 반란을 일으켜 일본군에 부역하였는데 피난 중이던 두 왕

                             임해군 * 순화군을 붙잡아 일본군에 넘기는등 경성鏡城을 점령하고 있었다.  이에 정문부를

                             비롯하여 이붕수 * 최배천 * 지달원 * 강문우 * 정현룡 * 오응태 등이 군사를 일으켜 경성을

                             수복하고 국세필을 잡아 목을 베었다.

                             대장기가 꽂힌 성루에는 정문부가 앉아있고 그 앞에서 적도들의 목을 베고 있으며 성 밖에

                             적을 추격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권응수  장검  權應銖  長劍


               일본 日本   1521년

 

 

               권응수權應銖 (1546~1608)가 임진왜란 당시 일본 장군으로부터 노획한 칼로서,  ‘대영원년大永元年(1521)’

               이라는 일본 연호가 새겨져 있다.

 

 

 

 

 

 

              농포집 農圃集


               정문부鄭文孚  /  조선 朝鮮 

 

 

               학자이자 의병장인  정문부(鄭文孚)의 시문집이다. 이 가운데 장계(狀啓)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경성에 들어가 백성을 안정시키고 일본 장수를 참수한 뒤 반란자 국경인(鞠景仁) 등을 사로잡은 경로와 상황

               을 서면으로 자세하게 보고한 것이다. 「격문」은 함경도의 여러 수령과 선비들에게 국가의 위급함을 호소하

               여 의병에 가담하여 줄 것을 권유한 글이다.

                                                                                                                                                      정규섭  소장

 

 

 

 

 

 

                                            연성대첩비  탁본   延城大捷碑   拓本


                                        조선 朝鮮 

 

 

                                      임진왜란 때 황해도의 연안성 전투에서 초토사 이정암李廷馣이 일본군 장수

                                      구로다 나가마사[黑田長政]가 이끄는 군대와 맞서 대승을 거둔 것을 기념하

                                      는 비석을 탁본 한 것이다.

 

 

 

 

 

 

 

           사류재집 四留齋集


         이정암李廷馣   /   조선 朝鮮  /  복제품 複製品

 

 

         연안성 전투에서 공을 세운 이정암(李廷馣)의 시문집으로서 연성대첩비문이 실려 있다. 이 문집 중 「십조차

         (十條箚)」는 군사제도를 보완하여 왜구의 침입을 막고, 붕당을 없애 조정을 화평하게 하는 것, 언로(言路)를

         열어 백성들의 의견을 두루 살필 것 등 모두 10개 조항에 걸쳐 당시의 제반 사정을 두루 진언하였다. 또한 저

         자의 일대기, 왜장에 대한 답서, 의병모집 격문, 역대 일본 침략기 등도 함께 실려 있어 국제정세와 임진왜란

         전후사정을 살펴볼 수 있게 해준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이번 포스트는 여기까지입니다...

                 2013.12.11  수정 - 사진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