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내고향 晋州.

국립진주박물관 - 4, 임진왜란 전투의 시작.

by 五江山 2013. 11. 19.

 

                  

 

 

              임진왜란 전투의 시작

 

             1592년 4월 14일 새벽 일본군의 부산진성 공격으로 임진왜란이 시작되었다. 일년여의 전쟁준비를 마친 일본군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명령에 따라 대마도를 출발하여 전날 오후 5시경 부산 앞바다에 도착해 있었다.

            일본군의 내습은 경상좌우도의 봉수를 통해 각지에 전해졌고, 부산진첨사 정발은 절영도에서 급히 귀환하여 방어

            준비를 했으나 전쟁경험이 풍부하고 조총과 같은 신무기로 무장한 일본군의 1번 대인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

            의 군대 2만여 명 앞에서는 무력할 수밖에 없었다. 일본군은 새벽 3시부터 공격을 시작하여 약 두 시간 만에 성을

            함락시켰고 정발은 전사하였다. 이날 일본군은 다대포에 부대의 일부를 보내 점령하니 다대포첨사 윤홍신이 전사

            하였다. 다음날인 15일 6시부터 일본군은 동래성을 포위하고 공략했는데 경상좌병사 이각은 지원군 모집을 구실

            로 성을 나갔고 동래부사 송상현이 중심이 되어 결사항전 하였다. 일본군은 나무판자에 ‘싸우던지 싸우지 않고 길

            을 빌려줄 것’ 을 요구하였는데, 송상현은 ‘싸워 죽기는 쉬워도 길을 빌려주기는 어렵다 戰死易 假道難’ 라고 하였

            다. 성중의 백성들은 노소를 가리지않고 항전하였으며 부녀자들까지 지붕에 올라가 기왓장을 던지며 저항했다.

            성이 함락되자 송상현은 ‘달무리에 싸이듯 외로운 섬 큰 진에서는 구원하지 않는구나. 임금 신하 사이의 의리는

            무겁고, 부자간의 은혜는 가볍도다 孤城月暈  列鎭高枕  君臣義重  父子恩輕 ’ 라고 하면서 순절하였다. 포르투갈

            신부 프로이스의 《일본사》등에는 ‘조선인들이 매우 용감하게 싸웠으며,일본군은 성을 함락시킨 후 심지어 가축

            까지도 무차별 살육하였다’ 고 하였다.

            길고 험난한 7년전쟁 임진왜란의 시작이었다.

 

 

 

              2층 임진왜란실이다. 이제 여기서 부터 임진왜란 관련 유물을 하나씩 구경하며 이야기를 해보자.

 

 

                               동래읍성 발굴과 출토 유물.


 

                동래구 복천동 일대에 위치한 동래읍성은 일본으로 통하는 관문으로 국방과 외교통상에 있어 중요한 곳이였다.

                읍성은 고려 말 우왕13년(1387) 축성된 후 세종대에 한 차례 개축되었고 임진왜란 발발 후 두 번째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지금까지 여러 차례 발굴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최근 읍성의 남문 부근에 해당하는 수안동 로터리의 부산

                지하철 3호선 건설에 따른 유적발굴에서 잘 보존된 해자와 임진왜란 당시의 격전을 확인할 수 있는 갑옷 * 환도 *

                창 등의 무기류, 전투로 입은 상흔이 있는 두개골 등이 다량 발굴되었다.

 

 

 

동래부순절도  東萊府殉節圖                     보물  제392호


                                         변박 卞璞  /  조선 朝鮮  / 1760 / 복제품

 

                  이 그림은 조선 후기의 화가 변박(卞璞)이 임진왜란 발발 후 두 번째 싸움인 동래부전투를 1760년에 그린

              기록화이다. 동래부전투와 관련된 여러 가지 사건을 한 화면에 담고 있다.

              비단 바탕에 채색 되어 있다.                                                                                    육군박물관 소장

 

 

                                          

 

 

 

                부산 수안동 출토 유물   釜山 壽安洞 出土 遺物


 

            투구 胄 (왼쪽), 환도 還刀 (오른쪽 ↑), 화살촉 (오른쪽 ↓), 

            깍지 夬 (오른쪽 끝) ; 활시위를 잡아당기기 위해 엄지손가락에 끼는 기구

 

 

 

 

 

                     

 

                           박물관 2층 임진왜란실 오른쪽으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부산진순절도 釜山鎭殉節圖                                          보물  제391호


                                            조선 朝鮮  1760  /   복제품 複製品

 

                                       조선 후기의 화가 변박卞璞이 그린 기록화로서 임진왜란 최초의 전투인 부산진 전투이다.

                               1592년 4월 13일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가 이끈 일본군 이 부산에 침입하였다.

                               다음날 아침 6시경 상륙하여 성을 공격하였는데, 이때 부산첨사 정발鄭撥이 군민을 지휘

                               하여 분전하였으나 성은 함락되고 정발은 순절하였다.

                                                                                                                                 육군 박물관  소장

 

 

 

 

 

 

                          비록  懲毖錄


                    류성룡 柳成龍  /  조선 朝鮮  17세기 

 

       류성룡 (柳成龍)이 임진왜란이 끝난 뒤 벼슬에서 물러나 저술한 수기이다.  임진왜란 7년간의 전쟁 기사로 임진왜란의

       원인과 전황을 자세히 기술하고 있다. ‘징비’는 『시경 (詩經)』 「소비편(小毖篇)」에 ‘미리 징계해서 후환을 경계 한다’

       는 구절에서 따온 말이다.

 

 

 

 

 

               정원전교   政院傳敎


                           조선 朝鮮 1592  /  선조 宣祖  /  복제품 複製品

 

                1592년 12월 14일,  류성룡이 임진왜란 중 승정원을 통해 받은 왕의 지시가 담긴 문서이다. 평양 부근에서

                도체찰사의 임무를 수행하던 류성룡 에게 내린 것으로서 명군을 지원하라는 선조의 유지이다.

                                                                                                                        충효당  소장

 

 

 

 

 

 

                   임진기록  壬辰記錄


                정탁鄭琢  /  조선 朝鮮  1592~1598  /   복제품 複製品

 

 

 

           임진왜란 7년간의 기사가 주를 이루며, 전후의 일을 기술한 부분도 더러있다. 내용을 크게 둘로 구분할 수 있다.

           하나는 조선국내의 전쟁관계 기사이고, 다른 하나는 명과 관계된 기록이다. 그런데 왜란중의 기록에서도 갑오년

           (1594)의 사건들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반곡진법  盤谷陣法


                   정경달 丁景達  /  조선 朝鮮  17세기 

 

                 임진왜란 중 의병활동을 한 정경달의 친필 병서이다.

                 그림과 함께 의병활동상을 적었다.                                                                              

                                                                           정학렬  소장

 

 

 

 

 

 

                           선조국문교서 宣祖國文敎書                         보물 제951호


 

                                조선 朝鮮  1593  /  복제품 複製品

 

           임진왜란 당시 피난 가 있던 선조가 1593년 9월에 내린 한글 교서(敎書)이다. 당시 조선은 의병의 봉기와 명군

           의 지원 등으로 평양 경성 등 실지를 회복하였고, 왜군은 남하하여 부산 * 동래 등지에 주둔 하고 있었다. 이 때

           포로가 되어 왜군에  협조하던 백성들이 적지 않았는데, 선조는 이들을  회유하기 위해 읽기 쉬운 한글로 교서를

           내린것이다. 당시 김해수성장(金海守城將) 권탁(權卓)은 이 문서를 지니고 적진에 잠입, 왜군 수십 명을 죽이고

           백성 100여 명을 구출해 나왔다. 이 문서는 형식상 교서라기보다 유서(諭書)라고 할 수 있다.                     

                                                                                                                                                       권이도 소장 

                                          

                〈원문번역〉


                백성에게 내리는 글이라

 

          임금이 이르사되 너희가 처음에 왜에게 후리어(잡히어서) 인하여 다니는 것은 너의 본 마음이 아니라,

          나오다가 왜에게 들키어(발각되어) 죽을까도 여기며 도리어 의심하되 에게 편들었던 것이니, 나라

          에서 죽일까도 두려워 나오지 아니하니 이제는 너희 그런 의심을 먹지 말고 서로 권하여 다 나오면 너

          희를 각별히 죄 주지 아니 할뿐 아니라, 그 중에 왜를 잡아서 나오거나 왜가 하는 일을 자세히 알아 나

          오거나 후리인(잡힌) 사람을 많이 더불어 나오거나, 이러한 공이 있으면 양천(양민 천민)을 물론하고

          벼슬도 줄 것이니 너희는 조금도 전에 먹던 마음을 먹지 말고 빨리 나오너라. 이 뜻을 각처의 장수에게

          다 알렸으니 감히 의심 말고 모두 나오라. 너희 중에 설마 다 어버이와 처자가 없는 사람 있겠는가? 너

          의 살던 곳에 돌아와 옛날대로 도로 살면 후련하지 않겠는가? 이제 곧 아니 나오면 왜에게도 죽을 것이

          고 나라가 평정된 뒤면 너희들인들 아니 뉘우치겠는가? 하물며 당병(명나라 군사)이 황해도와 평안도

          가득하였고, 경상 전라도에 가득히 있어 왜가 곧 빨리 제 땅에 아니 건너가면 이 즈음에 합병하여 부산

          동래에 있는 왜들을 다 칠뿐 아니라, 강남(명나라)배와 우리나라 배를 합하여 바로 왜나라에 들어가 다

          분탕할 것이니 그 때이면 너희들조차 휩쓸려 죽을 것이니, 너희가 서로 일러 그 전에 쉬이 나오라.

 

                                                                                    만력이십일련구월 일(1593년9월 일)

 

 

 

 

            김성일 한글편지 鶴峰國文書簡                                                                     보물  제905호


           조선 朝鮮  1592  /  복제품 複製品

 

 

           선조 25년(1592) 12월 24일,  김성일(金誠一)이 경상우감사로 경상남도 산음현 (지금의 산청)  진중(陳中)에서 안동

           본가에 있던 부인(貞夫人) 권씨에게 보낸 한글 편지이다.  전쟁 중 가족과 부인에 대한 걱정과 정이 담겨있다.

           당시의 국어연구에 필요한 귀중한 자료이다.      

                                                                                                                                  김시인  소장

                                             〈원문내용


 

           요사이 추위에 모두들 어찌 계신 지 가장 사념思念하네.  나는 산음山陰 고을에 와서 몸은 무사히 있으나, 봄이 이르

           면 도적이 대항할 것이니 어찌할 줄 모르겠네. 또 직산稷山에 있던 옷은 다 왔으니, 추워하고 있는가 염려마오. 장모

           뫼시옵고 설 잘 쇠시오. 자식들에게 편지 쓰지 못하였네. 잘들 있으라 하오. 감사監司라 하여도 음식을 가까스로 먹

           고 다니니, 아무것도보내지 못하오. 살아서 서로 다시 보면 그 때나 나을까 모르지만 기필 못하네.  그리워하지 말고

           편안히 계시오.  끝없어  이만.

 

           섣달 스무나흗날.

 

              

 

 

 

                전령  傳令


                    조선  朝鮮  1592  /  복제품

 

         전령은 어떤 관청에서 관할하고 있는 관리나 백성에게 내린 공문의 한 종류이다.

           이 전령은 1592년 7월 13일 경상도의 초유사인 김성일이 영산 (현재 경남 창녕군 소재)에서 왜적을 죽이고 그 귀를

           보낸 우 치홍(禹治洪)에게 영산현의 의병부장으로 임명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는 일종의 임명장이다. 임진왜란 초기

           영남지역의 의병활동과 국가의 의병활동 지원을 알 수 있는 중요문서이다.

 

                                                                  〈원문번역〉


             전령

 

           초유사가 차정하는 일.

           이번에 보내 온 고목(告目 ; 문서의 일종)과 함께 보낸 왜적의 귀는 잘 받았거니와, 앞으로는 왜적의 머리도

           함께 보내 증거를 삼을 수 있도록 하라. 네가 적의 소굴에 있으면서 나라를 위해 적을 쏘았으니 그 뜻이 가

           상하다. 그러므로 본현(本縣 : 영산현)의 의병부장(義兵部將)으로 차정하니, 신초(辛礎)와 함께 의병을 불러

           모아 충성을 떨쳐 적을 무찔러 성은에 보답할 일이다. 이 문서가 이르면 살펴서 시행하라.

           영산 의병부장 우치홍(禹治洪) 앞   만력  20년 (1592)  7월  13일

 

           여기에 장전(長箭)과 편전(片箭 : 화살의 일종)  각1부(部)를 보내니,  군수 신초와 나누어 싸울 때 사용하고 

           수시로 보고하라.

           초유사  (수결)

 

 

 

 

 

 

 

                  히젠나고야성제후진적도 肥前名護屋城諸侯陣跡之圖(비전명호옥성제후진적지도)


                 일본 日本  /  복제품 複製品 

 

 

           히젠나고야성은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임진왜란을 일으키기 1년 전에 쌓았다. 도요토미의 진영을 중심

           으로 각 다이묘의 진영을 점으로 표시했으며, 도쿠가와 이에야스 * 마에다 요시이에 * 이시다 미쓰나리 등 이름 있

          는 다이묘들이 정치적 관계에 따라 배치되었음을 보여준다.

                                                                                                                   일본 사가현립나고야성박물관 소장

 

 

 

 

 

 

          박진 위성공신교서 朴晉 衛聖功臣敎書


           조선 朝鮮   /   복제품 複製品

 

 

         선조 25년(1592)ㅇ데 함경도로 피난한 세자 광해군을 호종扈從한 공이 있던 신하들에게 내린 공식 책록 교서이다.

          이 교서는 위성공신 衛聖功臣으로 책록된 82명 가운데 3등에 봉해진 박진에게 내린 것으로, 본인은 물론 가족 모두

          에게  품계를 한 등급 높여 주고 대대로 세습하며 노비와 토지, 은銀, 말馬 등을 하사한다는 포상 내용이 적혀있다.

 

 

                         

 

 

                  향병일기  鄕兵日記


                       조선 朝鮮

 

 

           김해金垓(1555~11593)가 임진왜란이 발발한 1592년 4월 14일부터 다음해 경주에서 전사하는 6월 19일까지

         기록해놓은 것이다.  특히 안동의 당교唐橋전투에 대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병학지남  兵學指南


                  조선 朝鮮  1787

 

 

          16세기 중기의 명나라 장수 척계광戚繼光이 지은 기효신서紀效新書의 군대 훈련 방법에 관한 부분을 요약하여

          국내 실정에 맞추어 만든 병서이다. 이 책에는 군대의 조련, 진을 치는 법, 행군, 호령 등에 대한 규정과  설명이

          그림과 함께 수록되어 있다. 17세기 이후, 군대 훈련의 기본 지침서로 사용되었다.

 

 

 

 

 

                    화포식언해  火砲式


                     조선 朝鮮  /   복제품 複製品

 

                    인조 때 만들어진 각종 총포의 발사 방법과 화약제조 기술을 다루어 놓은 책이다. 『화포식火砲式』이라는

                    제목의 한문책을 한글로 번역한 것이다. 이 책에 비록 조총의 사용법과 각종 무기들의 사거리는 나와 있지

                    않아 아쉬운 점으로 남지만, 당시 화기들의 전반적인 사용법과 화약제조법을 규명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소장

 

 

                    이번 포스트는 여기 까지이고,

                    다음 포스트에는 임진왜란 중의 무기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하겠슴다....

 

                     2013년, 12월 10일 수정... 사진추가 및 글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