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진왜란
한국과 일본은 오랫동안 우호관계를 유지하였다. 그러나 16세기 말 조선은 일본을 통일한 도요토미 히데요시
[豊臣秀吉]의 대륙 정복 야심 아래 총 15만 8천 명의 일본군에게 침략을 받게 되었고, 동아시아는 명군까지 참
전하여 삼국전쟁으로 확산되었다.
조선은 1592년(선조 25) 4월 14일 상륙한 일본군의 선봉대를 맞이하여 결사항전하였으나 부산진성과 동래성
이 바로 함락되고 서울은 20일만에 점령 당하였으며, 일본군은 두달만에 서북방면의 평양과 동북방면의 함경
도까지 진출하였다. 이에 선조 임금은 의주까지 피난하고 명나라에 원군을 요청할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각지에서 의병이 일어나 일본군에게 막대한 타격을 입혔을 뿐만 아니라, 바다에서는 이순신이 이끄는
수군이 연전연승을 거두어 해상권을 완전히 장악하자 전세가 반전되기 시작하였다. 이듬해 정월 조선군과 명
나라 원군이 합세하여 평양성을 탈환하고 대공세를 펴자 일본군은 경상도 남해안으로 후퇴하여 머물면서 4년
여 동안 강화회담으로 시간을 보냈다.
1597년 도요토미의 무리한 요구로 강화회담이 결렬되자 정유재란이 발발하였다. 일본군은 한때 전라도를 점
령하고 서울을 향해 북상하였으나, 조 * 명연합군은 직산에서 이들을 패퇴시켰다. 이에 일본군은 다시 남해안
으로 후퇴하여 성을 쌓고 장기전을 폈으나 1598년 8월 도요토미가 죽자, 명분도 승산도 없는 전쟁에서 철수하
니 7년 간에 걸친 전쟁은 막을 내렸다.
조선은 전쟁동안 온 국토가 황폐해지고, 무수한 인명이 살상되었다. 또한 많은 문화 유산이 파괴되고 약탈당했
다. 전후 여러 분야에서 개혁을 추진하면서 전란의 피해를 복구하였으나, 그 방향은 대체로 집권 양반층의 기득
권을 수호하려는 것이였다.
중국에서는 조선 출병 등 여러 요인으로 국력이 쇠약해진 한족의 명明을 대신하여 이민족인 청淸이 대륙의 새
주인이 되었다. 일본에서는 도요토미 정권 대신 도쿠카와 이에야스[德川家康]의 바쿠후[幕府]가 들어섰다.
이 시기 일본은 조선에서 약탈해간 기술자와 문화재들을 바탕으로 서적, 인쇄, 도자기를 비롯한 여러 부문에서
기술을 향상시키고 새로운 문화를 발달시킬 수 있었다.
박물관 문을 열고 직진하면 2층 임진왜란실로 바로 갈 수 있다.
임진왜란실로 가는 입구에는 한글과 영어 그리고 일본어로 임진왜란에 대한 내용을 명시해 놓고 있다.
1층 로비에서 2층 임진왜란실로 가는 길
임진왜란실로 가는 벽면에는 국내외 역사와 그림들이 전시되어 있다.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세계지도, 혼일강리역대국지도(15세기)
1492 ~ 1551
1492 콜럼버스 아메리카대륙발견
1498 포르투갈의 바스코 다 가마 인도항로 발견
1506 레오나르도 다 빈치〈모나리자〉완성
1516 토마스 모어〈유토피아〉저술
1517 독일의 루터 종교개혁 시작
1519 에스파냐의 마젤란, 세계일주
1521 에스파냐의 멕시코 정복으로 아스텍제국 멸망
1534 영국 헨리8세 수장령 발표(영국 성공회의 시작)
1540 스페인의 로욜라가 예수회 창립
1543 포르투갈의 배가 일본 다네가섬에 표류하여 총포 전래
코페르니쿠스 지동설 발표
1550 타타르 알탄칸이 명나라 수도까지 침입(경술의 변)
예수회 선교사 사비에르가 일본 히라도, 교토 등지에서 포교
1494 연산군 즉위
1506 중종 반정
1510 삼포왜란 발생으로 일본과 국교 단절
1519 조광조 등 사사(기묘사화)
1542 풍기군수 주세붕이 백운동서원 건립
1543 전국 총호구 83만6669호, 인구 416만2021명으로 조사
1544 사량왜변 발생
1545 명종 즉위. 윤임 등 사사(을사사화)
일본에 입항하는 포르투갈 배의 모습(16세기)
1552 ~ 1561
1552 명 저장성에 왜구 침입
1555 일본 왜구들이 명의 난징에 침입하여 4500명 학살
1557 신성로마제국분열, 포르투갈 마카오항 건설 시작
1558 명의 간쑤 지방에 타타르 기병 3만 명 침입
1560 일본 막부에서 교토의 기독교 포교 허가
명의 푸젠 각지에서 유민 봉기
1555 전라도 달량포에 왜선 70척의 왜구 침임(을묘왜변)
판옥선을 만들어 시험. 각종 총통 다량 제조
1556 총통 주조용 구리 6만근 수입
1559 황해도 등지에서 임꺽정 등의 도적 횡행
이황과 기대승, 사단칠정(四端七情) 서신 왕래 시작
1560 이황 예안에 도산서원 건립
왜구와 전투를 벌이는 명나라 수군의 모습(16세기)
1562 ~ 1571
1562 프랑스 위그노전쟁 시작
1563 명의 척계광 * 유대유 등이 푸젠에서 왜구 격파(흥화대첩)
1565 에스파냐가 필리핀에 식민지 건설
일본의 쇼군 아시카가 요시테루 피살
1568 네덜란드 독립전쟁 시작
1570 일본 각지에서 민중 봉기
1571 레판토해전에서 에스파냐가 투르크 함대 격파
1565 문정왕후 죽음
1567 선조 즉위
1570 이황 죽음
오다 노부나가 본격적으로 조총을 사용하였던 나가시노[長篠] 전투(1575)
1572 ~ 1581
1573 명 장거정의 개혁
일본 무로마치 막부가 멸망하고 오다 노부나가 집권
1575 일본의 장소(長篠) 전투에서 조총이 위력 발휘
1576 명 일조편법 시행
1580 이탈리아 선교사 마테오 리치가 중국 샤먼에 도착
몽테뉴 〈수상록〉 집필 시작
1572 조식 죽음
1575 동인과 서인의 대립, 동서 분당 발생
1577 이이 해주향약 실시
포르투갈의 인도 총독이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보낸 편지(1588)
1582 ~ 1591
1583 여진족의 부장 누르하치의 발흥
도요토미 히데요시 오사카성 축성
1585 도요토미 히데요시 간바쿠에 취임
1587 도요토미 규슈 지역을 평정하고 선교사 추방
1588 영국함대가 에스파냐의 무적함대 격파
여진족의 누르하치가 만주 전지역 장악
1589 갈리레이 피사의 사탑에서 낙하 실험
1590 도요토미 히데요시 일본 전국을 통일
1591 세익스피어〈헨리6세〉집필
1583 이이 10만양병설 주장
김지 승자총통 발명
여진족의 경원도호부 침략(니탕개의 난)
1584 이이 죽음
1588 이일, 신립 등 여진족 토벌
1589 정여립의 난 발생
1590 황윤길을 정사, 김성일을 부사로 통신사 파견
임진왜란실로 가는 벽면에는 또 그림과 글이 적혀 있었는데,
그림은 노출 부족으로 올리지 못하고 글만 올려본다.
錬光死賊 (동광사적) 김연광이 적에게 죽임을 당하다.
회양부사 김연광 회양성 싸움 1592. 6. 5
趙憲忠烈 (조헌충렬) 조헌이 충렬을 다하여 싸우다.
의병장 조헌 제2차 금산 싸움 1592. 8. 17~8. 18
悌甲罵賊 (제갑매적) 김제갑이 적을 꾸짖다가 순절하다.
원주목사 김제갑 영원산성 싸움 1592. 8. 25
廷馣忠烈 (정암충렬) 이정암이 충렬을 다하여 싸우다.
초토사 이정암 연안성의 큰성리 1592. 8. 28~9. 2
季男取首 (계남취수) 홍계남이 적의 머리를 취하다.
의병장 홍계남 안성 죽산의 승리 1593. 1. 30
黃進血戰 (황진혈전) 황진이 혈전을 벌이다.
충청병사 황진 제2차 진주성 싸움 1593. 6. 19~6. 29
舜臣力戰 (순신역전) 이순신이 힘을 다해 싸우다.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 노량해전 1598. 11. 18
이번 포스트는 여기 까지하고 다음 포스트는 임진왜란에 대해서
본격적으로 알아보기로 하겠슴다.
※ 2013.12.8 수정 - 글과 사진 추가.
2013.12,10 수정 - 글 추가.
'내고향 晋州.'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립진주박물관 - 5, 임진왜란의 중의 무기. (0) | 2013.11.29 |
---|---|
국립진주박물관 - 4, 임진왜란 전투의 시작. (0) | 2013.11.19 |
국립 진주 박물관 - 2, 감각 체험실의 탈 & 토기. (0) | 2013.11.12 |
국립 진주 박물관 - 1, 박물관 소개. (0) | 2013.11.10 |
진주성 수성중군영 교대의식. (0) | 2012.11.09 |